내부경제와 외부경제

내부경제와 외부경제

전체의 최적규모, 즉 평균비용의 최저점을 생각하고 그것이 이나 수요증대 등에 기인하는 생산설비의 증대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추적하면 포락선(包絡線:envelope curve)이 얻어진다. 이 곡선이 오른쪽으로 내려갈 경우가 수확체증(收獲遞增), 수평이 될 경우가 수확불변(收獲不變), 오른쪽으로 올라갈 경우 수확체감(收穫遞減)이다.

일반적으로 공업 등의 성장에서는 수확체증, 농업 등의 정체산업(停滯産業)에서는 수확체감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산업에 따라 수확체감 또는 체증 경향이 나타나는 것은 내부경제와 외부경제의 두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내부경제는 기업·산업의 내부적 조건의 경제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익이고, 의 이익, 대규모 경영의 이익은 그것의 전형(典型)이다. 이에 비하여 외부경제는 기계·원재료공급의 관련산업의 발달, 운수기관의 정비, 완성품의 판매시장의 발달 등과 같이 그 기업이나 그 산업의 발달에 따르는 외연적(外延的) 환경의 발달에 의한 경제이다. 내부경제·외부경제에 의하여 산업의 수확체감 또는 체증 경향이 결정되며, 내부경제는 주로 기업규모의 경제를, 외부경제는 주로 산업규모의 경제를 지배한다고 말할 수 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