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기구사용법에 의한 수태조절

여성의 기구사용법에 의한 수태조절

페서리(pessary)
모자 모양의 고무막 가장자리에 가느다란 피아노선(線)을 나선 모양으로 감아넣어 링으로 만든 것(원형)을 8자형으로 찌그려서 질 안에 밀어 넣고, 원형인 제모양으로 반듯하게 해서 의 입구를 막아 정자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수정 저지법이다. 지름 60∼90mm 사이에 2.5mm 간격으로 치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태조절 지도원의 지도를 받아 크기를 바로 선택하며, 스스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대개 안쪽에 살정자약(殺精子藥)을 발라서 사용한다. 성교 전에 삽입하고 성교 후에도 그대로 두었다가 다음 날 아침에 제거하여 비누로 씻은 다음 물기를 닦고 파우더를 뿌려서 건조시킨다. 보통 1년 정도 사용할 수 있다. 삽입 기술이 숙련되면 실패는 적어진다. 자궁후굴(子宮後屈)이나 자궁하수(子宮下垂)인 사람, 또는 결혼 초에 질강이 좁은 사람에게는 적당하지 않다. 또한, 산후나 체중변화가 심할 때는 크기를 조절한다.

피임링
자궁 내 장치법에 의한 피임법이다. 옛날부터 많이 사용되어 온 피임법의 하나로서 대표적인 것은 그레펜베르그의 은환(銀環)이다. 최근에는 비닐 ·나일론 ·폴리에틸렌 제품 등의 이물을 삽입해서 수태를 저지한다. 링을 자궁강(子宮腔) 속에 삽입한 후의 부작용으로서는 부정출혈, 과다월경, 월경곤란증, 하복통, 대하의 증가, 링의 자연탈출 등이며, 이러한 증세가 심하면 링을 제거해야 한다. 삽입 후는 특히 자각증세가 없어도 3개월 또는 6개월마다 의사의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마다 링을 갈아 끼우는 것이 좋으며, 피임에 실패하는 예는 3∼5%로 본다. 성기에 염증이 있을 경우, 또는 과다월경이나 자궁근종(子宮筋腫)의 환자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자궁강 내에 이물이 들어 있기 때문에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착상하지 않는다는 설이 수태 저지의 이유로 여겨졌는데, 최근에는 자궁강 내에 삽입된 이물이 원인이 되어 된 난자가 수정하자마자 급속하게 난관(卵管)에서 자궁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스펀지 탐폰법(Tampon法)
적당한 크기의 해면(海綿)을 사용할 때 10% 식염수나 붕산수에 적신 것을 충분히 짜서 부드럽게 한 다음 젤리를 발라 질내 깊숙이 넣어 자궁의 입구를 막고 을 흡수시킨다. 성교 후에도 잠시 동안 방치해 두었다가 꺼내며, 사용 후에는 잘 씻어서 그대로 보존한다. 결점으로는 남성이 이물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