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의 주요광물자원

광산의 주요광물자원

한국의 은 주로 고기(古期)의 결정편암계 및 편마암류를 기반으로 하며, 일부지역에 및 이 덮여 있고, 이들을 관입(貫入)한 신기(新期)의 화강암류가 널리 분포되어 있어, 산성 화성암류와 관련이 있는 광물자원을 많이 가지고 있다. 예컨대, 금은광을 비롯해서 텅스텐·몰리브덴·형석·고령토와 희금속인 라듐·베릴륨 등의 부존자원이 비교적 많다고 할 수 있다. 염기성 화성암의 발달은 비교적 소규모여서 그 암석과 관련이 있는 백금·크롬·철광 등은 거의 없고, 석면도 외국에 비하여 규모가 극히 적다.

결정편마암류에는 인상흑연(鱗狀黑鉛)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무연탄과 더불어 토상흑연(土狀黑鉛)이 풍부하게 산출되고 있어, 한국의 흑연광업은 활발하다. 한국에 분포된 각종 광물자원은 약 140종에 달하여 세계의 법정광물 210종에 비하면 미달되지만 한국의 면적에 비하면 종류가 다양하다.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줄만한 특정 광물자원은 극히 빈약한 실정이지만, 텅스텐과 같은 몇몇 자원은 질이나 양에서 세계적이다.

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