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피혁의 용도와 성질

합성피혁의 용도와 성질

합성피혁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① 레더:케미컬슈즈·샌들·슬리퍼·가방·가구·차량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포(基布)로는 옥양목 ·플란넬 등 여러 가지 것이 이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표면이 더러워지기 쉬우며, 사용 중 노화하고, 또한 내한성·투습성·감촉 등과 보는 느낌도 나쁘나, 깨끗하게 착색이 되고 값이 싸며 화학약품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② 레더:염화비닐레더의 최대의 결점인 보는 느낌, 감촉을 좋게 하기 위해, 또한 한서(寒暑)에 의한 유연성의 변화를 적게 할 목적으로 수지 중에 기공을 넣어서 스펀지상으로 한 것이다. 염화비닐레더와 거의 같은 용도로 쓰이나, 주로 의료용·지갑용·슬리퍼용 등에 사용되고 있다. 기공이 들어 있는 것은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③ 나일론 도장 합성피혁:스펀지레더보다 약간 표면의 감촉이 좋고 강도가 크므로, 스펀지레더와 같은 용도지만 이것보다 약간 고급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④ 폴리아미드계 합성피혁:부츠·지갑·백용이 가장 많고 다음이 구두·슬리퍼·의복용·가구용 등에 사용된다. 직포와 기공이 있는 수지막(樹脂膜)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강도는 양자를 합계한 것이나, 수지막은 거의 강도가 없으므로 주로 직포에 의해서 결정된다. 인장강도는 1mm2당 0.4∼0.5kg, 인열강도(引裂强度)는 1mm당 0.5∼10kg으로서 그 차는 크다. 강도가 없는 합성피혁은 촉감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져 있어서 가공할 때 이포(裏布)로써 보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잘 긁히고, 표면막(表面膜)이 벗겨지기 쉽다. 직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므로 잡아당기는 방향에 따라 강도 및 신도(伸度)가 다르다. 경사(經絲)에 튼튼한 실을 사용한 것은 세로방향으로 인장도가 강하고, 가로방향으로 인열이 잘 된다. 경사와 위사의 중간방향(45°)이 가장 늘어나기 쉽다.

대략적인 비중은 기포의 성질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피혁보다는 가볍고 0.5g/cm3 정도이다. 스펀지레더 등에 비해서 감촉과 보는 느낌이 좋고 나일론 자체에 의한 흡습성·내열성·구조에서 오는 통기성(通氣性) 등이 우수하고 또 수공예적인 가공도 하기 쉬우므로 합성피혁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⑤ 우레탄계 합성피혁:폴리아미드계 합성피혁과 용도가 거의 같다. 우레탄계 합성피혁에도 표면을 특수한 나일론으로 가공한 것이 있다. 우레탄계 합성피혁은 일반적으로 가볍고, 가소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한기(寒氣)에 의한 경화(硬化)는 적고, 표면의 내마찰성(耐磨擦性)은 크다. ⑥ 아미노산계 합성피혁:폴리아미드계 또는 우레탄계 합성피혁 표면에 아미노산수지를 함유한 도료로 도장하고 감촉, 보는 느낌, 내열성 등을 개량한 것이다. 합성피혁은 원래 구두의 갑피재료로 개발된 것으로서, 갑피재료로서의 사용량이 많다.

최근에는 양산이 가능해져서 가방·핸드백·인테리어 등 여러 방면에 사용되고 있다. 중간에 직포를 넣은 것은 직포에 의해서 강도가 커지고 또한 표면층의 불균일한 신장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직포에 기인하는 방향성 및 신도가 직포에 의해서 억제되는 결점이 있다. 제품에는 표면이 평활하고 매끈한 것과 보풀이 있는 스웨이드상의 것이 있다. 매끈한 것은 주로 신사·숙녀화의 갑피재료 및 가방·핸드백·인테리어용으로, 스웨이드상의 것은 주로 숙녀화의 갑피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신사화용은 두께가 약 1.5mm이고, 숙녀화용은 약 1.0mm이다. 인장강도는 1kg/m2, 인열강도는 2kg/mm로서, 천연피혁의 약 1/3의 강도이나, 일반적으로 신도가 크므로 구두를 만들 수 있다. 구두재료로 필요한 투습도는 종류에 따라서 상당히 차이가 있으나, 대략 1cm, 1시간당 0.6∼4.0mg이다. 흡습도(吸濕度:온도 20℃에서 상대습도가 65%와 80%일 때의 단위부피당의 중량의 차)는 1.7∼6.2mg/cm3로, 어느 것이나 피혁보다 나쁘므로 이 재료로 만든 구두는 열기가 차기 쉬운 결점이 있다.

이 점을 개량하는 것이 금후의 과제로 현재는 흡습성이 있는 피혁을 구두의 내장(內裝)에 사용해서 이 결점을 보완하고 있다. 내수성이 양호하고 손질도 간단하나 오랫동안 손질하지 않으면 광택이 없어지므로 어느 정도 전용 크림을 발라서 손질할 필요가 있다. 표면이 우레탄수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에 강하나, 마이크로폴라스층(層)의 기공의 크기가 불균일해지기 쉽고, 큰 기공이 있으면 그곳이 균열 등의 원인이 된다. 합성피혁 전반의 특징은 상대습도에 대해서 부피가 안정되어 있는 것이나, 한편 절단한 끝으로부터 풀어지기 쉽고, 가장자리를 꺾어 접는 것이 곤란한 점을 결점으로 들 수 있다. 피혁은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서 팽창하고 또한 방출해서 수축하므로, 구두형 그대로의 구두가 되며, 땀에 의한 수분을 빨아들여 발의 팽창에 맞도록 팽창한다. 합성피혁은 부피가 안정해 있으므로 발에 닿는 느낌이 나쁘고 또 가소성이 없으므로 발에 잘 친숙해지지 않는 결점이 있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