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음운

한국어의 음운

〈자음〉 현대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으로 첫째, 폐쇄음 ·파찰음(破擦音)의 평음(平音) ‘ㄱ ·ㄷ ·ㅂ ·ㅈ’, 유기음(有氣音) ‘ㅋ ·ㅌ ·ㅍ ·ㅊ’, 경음(硬音) ‘ㄲ ·ㄸ ·ㅃ ·ㅉ’의 3계열을 들 수 있다. 평음은 약한 기(氣)를 수반한 무성음(無聲音)이며( 사이에서는 유성음), 유기음(有氣音)은 강한 기를 수반한 무성음으로, 경음은 성문(聲門) 폐쇄를 수반한 무성음으로 실현된다. 이 유기음과 경음은 모음간이라는 환경에서도 유성음화하지 않는다. 마찰음에는 평음 ‘ㅅ’과 경음 ‘ㅆ’만이 있다. ‘ㅅ’은 어두(語頭)에서는 상당히 강한 기(氣)를 수반하며, 모음간에서는 기가 약화되나 폐쇄음이나 파찰음의 평음처럼 유성화하지 않고 그대로 무성음으로 실현된다. ‘ㅎ’은 그것에 대응하는 경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15세기 한국어에는 있었다). 이 밖에 비음(鼻音) ‘ㄴ ·ㅁ ·ㅇ’과 유음(流音) ‘ㄹ’이 있다. 구개범비음(口蓋帆鼻音) ‘ㅇ’[η]과 유음 ‘ㄹ’은 어두에 오지 않음이 특징이다. 이상의 모든 자음은 휴지(休止)나 다른 자음 앞에서 반드시 내파음(內破音)이 된다.   폐쇄음에서는 가령 ‘ㄷ ·ㅌ’은 한결같이 내파적(內破的) [t]로 실현되며 파찰음 ‘ㅈ ·ㅊ’과 마찰음 ‘ㅅ’도 [t]로 실현되어 모두 중화(中和)되고 만다. 비음과 유음도 내파화하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유음 ‘ㄹ’은 모음 사이에서는 [r]로, 음절말(音節末) 또는 어말(語末)에서는 [l]로 실현되는데 이는 내파화한 결과이다. 현대한국어에 있어서는 어두에 자음군(子音群)을 허용하지 않는다(15세기 한국어에서는 허용되었던 듯하다). 어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모음간의 자음 결합은 두 자음에 한한다(예:값 → 갑시, 갑도 등). 〈자음접변의 규칙〉 음절 사이에서 자음과 자음이 결합될 때 그 변동하는 규칙에는 필연적인 것과 임의적인 것이 있다. 첫째, 필연적인 것으로 ① 음절 사이에서 앞의 종성 ‘ㄱ ·ㄷ ·ㅂ’이 뒤의 초성 ‘ㄴ ·ㅁ’에 선행될 수 없다(먹는다 → 멍는다, 맏며느리 → 만며느리, 밥먹다 → 밤먹다 등). ② 음절 사이에서 둘째 음절 초성 ‘ㄹ’은 ‘ㄹ’ 이외의 다른 종성에는 연결되지 못한다[삼라(森羅) → 삼나, 종로 → 종노, 백로 → 뱅노, 압력 → 암녁 등]. ③ ‘ㄹ’종성은 ‘ㄴ’초성과 연결되지 못한다[불노(不怒) → 불로, 칼날 → 칼랄 등]. ④ ‘ㅇ’[η]은 초성으로서 어떠한 종성 자음에도 연결될 수 없는데 이것은 [η]을 두음으로 하는 형태소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 임의적인 것으로 ① 내파음으로 나는 ‘ㄷ ·ㅂ’ 종성에 ‘ㄱ ·ㅂ’ 초성이 이어 날 때에는 앞소리가 뒷소리에 완전 동화되는 경향이 있다(벗기다 → 벅기다, 받고 → 박고, 갖고 → 각고, 엿보다 → 엽보다, 밥그릇 → 박그릇). ② 비음 ‘ㄴ ·ㅁ’에 ‘ㄱ ·ㅂ ·ㅁ’이 연결될 때는 앞소리가 뒷소리의 조음위치로 이동한다(손가락 → 송가락, 신발 → 심발, 신문 → 심문, 감기 → 강기 등). 이 임의적인 두 경우는 표준 발음으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모음〉 현재 서울말의 ‘ㅚ’와 ‘ㅟ’의 발음은 세대(世代)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외(瓜)’와 ‘위(上)’처럼 어두에 올 때에는 상승적 이중모음 [we] [wi]로 발음되지만 자음 뒤, 특히 치음이나 구개음 뒤(쇠, 죄, 쉬, 쥐)에서는 단모음 [ø] [y]로 발음된다. 단모음화한 이들은 전설원순모음(前舌圓脣母音)에 속한다. 모음 ‘ㅓ’는 음의 길이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단음인 경우에는 [Λ]에 가깝고 장음 인 경우에는 [əː]에 가깝다. 한자음에서도 단음의 ‘榮 ·景 ·京’ 등에서는 [Λ]로, 장음의 ‘永 ·慶 ·競’ 등에서는 [əː]로 발음된다. 이와 같은 경향은 19세기경부터 나타났다. 최근 젊은 세대의 모음 체계에는 많은 동요가 있는 듯하다. 그 중 뚜렷한 것으로는 전설모음(前舌母音) ‘애’[ε]와 ‘에’[e]의 구별이 흐려져 가고 있는 사실이다. 이것은 비어두(非語頭) 음절에서 일반적이며(決裁와 決濟의 구별이 없어졌다), 어두 음절에서 간혹 나타난다(在籍과 除籍이 잘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동남 및 서남 방언의 영향인 듯하다. 이들 방언에는 그 대립이 없기 때문이다. 현대 맞춤법에서는 ‘의’를 인정하고 있어 이것을 음운론적으로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문제되기도 하는데, [i]로 해석하여 상승적(上昇的) 이중모음으로 보기도 하고[y]로 해석하여 하강적 이중모음으로 보기도 하지만 실제 발음에는 그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대개 어두에서는 []나 [i] 중 하나로, 비어두에서는 [i]로 발음되며 속격(屬格)에서는[e]로 발음된다. 다만, 보늬, 무늬[紋] 등에서의 ‘의’는 그것이 결합된 ‘ㄴ’이 구개화(口蓋化)되지 않은 [n]임을 보이기 위한 것인데, 이는 ‘’가 구개화된 []가 아님을 나타내기 위한것이다. 맞춤법에서는 또 한자음에서 ‘의(義) ·희(希)’ 및 ‘계(桂) ·례(禮) ·폐(肺) ·혜(惠)’ 등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희 → 히’ 및 ‘계 → 게, 례 → 레’ 등으로 발음되고 있다. 한국어 모음에는 위와 같은 모음을 핵으로 하는 상승적 이중모음으로 반모음 /j/와 결합된 ‘ㅑ ·ㅕ ·ㅛ ·ㅠ ·ㅖ ·ㅒ’, 반모음 /w/와 결합된 ‘ㅘ ·ㅝ ·ㅙ ·ㅞ’ 등이 있다. 〈모음 -이-로 말미암은 동화〉 모음 ‘이’로 말미암은 동화에는 ① 구개음화, ② 가 있다. ① 구개음화는 파생(派生)이나 곡용(曲用)에 있어서 어근의 끝소리가 ‘ㄷ ·ㅌ’이고, 뒤에 오는 접미형태소가 ‘이’일 때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변동되는 현상을 이른다(굳+이 → 구지, 같+이 → 가치, 밭+이 → 바치 등).   구개음화는 이와 같은 형태소 통합에서는 필연적 ·보편적이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디 ·티’의 연결이 반드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견디다, 디디다, 느티나무 등). ② 움라우트는 전설고모음(前舌高母音) ‘이’가 그 앞의 전설고모음이 아닌 모음을 전설모음으로 바꿈을 이른다(아 → 애, 잡히다 → 재피다, 감기다 → 갬기다, 어 → 에, 먹히다 → 메키다, 벗기다 → 베끼다, 오 → 외, 녹이다 → 뇌기다, 옮기다 → 욍기다, 으 → 이, 뜯기다 → 띠끼다, 우 → 위, 죽이다 → 쥐기다 등). 그러나 이 작용은 보편적인 것은 아니어서 표준발음으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모음의 장단 ·억양〉 현대 중부방언에는 음장(音長)이 있어 단음과 변별적으로 기능을 한다. 장음은 중세어의 성조가 없어지면서 상성(上聲)의 음장이 남은 것이다. 예를 들어 장모음:말[言] ·눈[雪] ·밤[栗] ·발[簾], 단모음:말[馬] ·눈[眼] ·밤[夜] ·발[足] 등이다. 그러나 이 음장은 비어두 음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가령, ‘없-[無]’의 음장은 ‘끝없-, 부질없-’ 등에서는 없어지며, 한자음에서도 ‘대학(大學)’의 경우는 ‘대(大)’가 음장을 유지하지만 ‘증대(增大) ·확대(擴大)’의 경우는 그것을 잃고 만다.   이들은 강약의 발음을 수반하지만 단어의 어휘적 뜻(lexical meaning)을 분화하는 데 참여하지 못한다. 곧, 강약이 변별적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그런데 구절말(句節末)의 고저(高低)는 세 가지가 있어서 구절의 끄트머리는 상승 ·수평 ·하강의 어느 하나로 발음되며, 이러한 고저는 말의 뜻을 알아 듣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할 뿐 아니라 때로는 문법적 의의를 구별하는 기능을 한다. 곧, 상승은 의문의 뜻이고(문을 열까↑), 하강은 명령(문을 열어라↓) 또는 서술의 뜻이 된다(문을 연다↓). 수평은 뒤에 다시 말이 이어남을 암시한다(문을 열어서 → 방안 공기를 내어 보낸다). 그러나 의문은 반드시 상승만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어디’나 ‘무엇’ 등이 포함된 문장에서 그 문장의 끄트머리의 하강은 그 ‘어디’ ‘무엇’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이며(어디 가오↓, 무엇을 찾습니까↓), 상승은 다만 ‘예, 아니오’의 대답을 요구하는 판정 의문이 된다(어디 가오↑, 무엇을 찾습니까↑). 또한 양자 택일의 의문에서는 첫 물음은 상승조로, 끝의 물음은 하강조로 발음한다(이것이 술이냐↑ 물이냐↓, 이 사람이 죽었나↑ 살았나↓).   〈모음조화〉 현대 한국어에서는 모음조화가 극도로 쇠퇴하였으나 언중(言衆)에 의하여 분명히 의식된다. 그것은 양성(陽性)모음 ‘아 ·오’와 음성(陰性)모음 ‘어 ·우’의 대립을 주축으로 하는 의성어(擬聲語)와 의태어(擬態語)에 뚜렷이 나타난다(팔팔-펄펄, 찰찰-철철, 알록알록-얼룩얼룩 등). 그런데 ‘으 ·이’는 양성이나 음성모음에 서로 조화되어 나타난다(보슬보슬-부슬부슬, 남실남실-넘실넘실 등). 이와 같은 사실로 보면 ‘으’는 그 짝인 ‘’가 소실되어 중성(中性)모음으로 되었다고 할 만하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