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한국무용

조선시대의 한국무용

조선의 개국 초기에는 고려의 정치와 문화를 수용하였으나 유교를 바탕으로 하는 국가질서가 확립됨에 따라 전승된 팔관회와 연등회 의식은 축소되고 산대잡극이나 나례가 성행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특히 나례는 잡희무(雜戱舞)가 확대되면서 나례가 나희로 인식되었는데, 즉 나례, 나희는 전적으로 무(舞)를 위주로 하며 민속무용의 바탕이 된다. 또한 나례도감 또는 산대도감의 설치는 국가적인 행사나 중국 사신을 영접하는 자리에 연행됨에 따라 그 규모를 확대해 갔다. 즉 조선의 민속무는 산대도감 계열의 무와 남사당패나 솟대쟁이패가 갖는 각종 잡희의 춤, 무속에서 파생된 무속무, 농민을 위주로 하는 농악무, 사찰에서 행해지는 사찰무와 기방무(妓房舞) 등 광범위한 영역을 가지고 출발했으며 각각의 특성을 지니고 면면히 이어진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조선시대는 궁중무용의 전성기로서 이때 만들어진 춤만도 36종이나 되며 조선 후기까지 추어진 정재는 총 55종에 달한다. 《악학궤범》에 전하는 시용에 의하면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 <봉래의(鳳來儀)> <아박무(牙拍舞)> <향발(響鈸)> <무고(舞鼓)> <학무(鶴舞)>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교방가요(敎坊歌謠)> <문덕곡(文德曲)> 등 10가지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 후기에 창작된 향악정재로는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경풍도(慶豊圖)> <고구려무> <관동무> <무산향(舞山香)> <만수무(萬壽舞)> <망선문(望仙門)> <박접무> <보상무(寶相舞)> <사선무(四仙舞)> <영지무> <첩승무(疊勝舞)> <춘광호(春光好)> <춘앵전> 등이고 당악정재로는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제수창(帝壽昌)> <최화무> 등이 있다.

현재 전승하고 있는 춤으로는 향악정재 <춘앵전> <가인전목단> <검무> <향령무(響鈴舞)> <무고> <처용무>와 종묘제향에 쓰이는 <보태평지무> <정대업지무>가 있고, 당악정재로는 <포구락> <장생보연지무> <연백복지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민속무용으로는 <강강술래> <승무> <살풀이> <한량무> <노장무> <탈춤>이 있으며, 종교무용으로는 <일무>와 불교의식무인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과 무속무용이 있다. 〈신무용(新舞踊)〉20세기에 들어와서 무용의 자유로운 형식과 인간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려는 경향이 대두되어, 한국의 시대정신과 감각에 바탕을 둔 새로운 무용미를 추구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신무용’으로 규정되는 이러한 경향은 1926년 일본의 이시이 바쿠[石井漠]의 소개로 29년 배구자(裵龜子) 무용발표회가 최초로 개최되었다. 그 뒤 30년대 민속무용의 무대화를 시도한 조택원(趙澤元) ·최승희(崔承喜) ·한성준(韓成俊) 등의 창작활동을 거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최승희의 <에헤야 놓아라>(34), 조택원의 <승무의 인상>(35) 등의 공연은 한국 신무용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김백봉(金白峰) ·강선영(姜善泳) 및 국립무용단을 이끈 송범(宋范) 등은 50~60년대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신무용의 활성화를 기하였다. 발레는 20년에 도입되었으나 활동기반이 구축된 것은 46년 조택원 등이 조선무용예술협회를 결성함과 동시에 조직된 발레부를 통해서였다.

46년 한동인(韓東人)이 서울 발레단을 창단하여 <레실피드>(46) <민족의 피>(47) <호두까기 인형>(48) 등을 공연하면서 본격적인 발레운동과 무용의 기업화를 꾀하였다. 임성남(林聖男)은 55년 이후 90년대 초까지 <백조의 호수>(56) <처용>(82) <배비장전>(84) <춘향전>(86) 등 다양하고 수준 높은 발레 작품을 보여 주었으며, 박외선(朴外仙)과 육완순(陸完順)은 대학의 무용과를 통해 현대무용을 발전시켰다.

62~65년 서울 예술고교와 이화여자대학 등에 무용과가 설치되고 젊은 무용수들의 해외연수도 활기를 띠었다. 그리고 홍신자(洪信子)와 육완순 ·문일지(文一枝) 등이 각각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밖에 김매자(金梅子) 등의 활동으로 다양성과 전문성을 확보하였다. 한편 춤전용 소극장들의 개관으로 무용계의 공간확보에 이바지하게 되고, 문예진흥원의 협조와 한국무용협회의 활약으로 무용계는 국제수준을 향해 발전해 가고 있다.

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