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의 진화

코끼리의 진화

아메리카매머드 화석

아메리카매머드 화석

코끼리는 현생종보다 훨씬 많은 종류가 알려져 있고, 현생하는 2종은 그 긴 진화 속에 있어서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수 있다.

가장 오래 된 코끼리로 알려져 있는 메리테리움(Moeritherium)은 이집트의 에오세와 올리고세의 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멧돼지 정도의 크기로 골격, 특히 허리 부분이 바다소와 비슷하며, 어깨높이는 약 70㎝이다. 지금과 같은 코는 없었고 약간 튀어나온 두꺼운 윗입술이 있었는데, 맥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었다고 하며, 콧구멍은 소나 말과 같은 위치에 있었다. 위턱의 둘째앞니는 송곳니보다 길며 엄니 모양을 하고 있고, 아래턱에도 같은 앞니가 보인다.

메리테리움 이후에 나타난 마스토돈(Mastodon)은 약 2000만 년 전 마이오세에서 처음으로 나타나 약 1만 년 전 충적세에 멸종되었다. 아프리카·유라시아·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몸길이 4.5m, 어깨높이 2∼3m, 몸무게 4∼6t이고 여러 형태가 있으며, 엄니가 뚜렷하게 길다.

마스토돈의 조상이라고 생각되는 팔라이오마스토돈(Palaeomastodon)이나 피오미아(Phiomia)는 메리테리움과 같은 시대의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팔레오마스토돈은 어깨높이가 2∼3m이고, 피오미아는 이보다 소형인데, 모두 메리테리움보다 몸집이 크다. 위턱과 아래턱에 엄니 모양의 앞니가 있는데, 특히 아래턱의 앞니가 길다. 많은 종류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모두 200만∼1만 년 전에 절멸하였다.

스테고돈(Stegodon)은 중기 플라이오세에서 전기 홍적세에 아시아(동부)·동남아시아·인도·이스라엘 등지에 분포하였다. 이 종과 마스토돈과의 이행형(移行型)인 스테골로포돈(Stegolophodon)은 몸집과 엄니가 특히 거대한데, 엄니가 평생 계속 자라고 코도 길어져서 오늘날의 코끼리에 가까워졌다. 그후 까지 환경에 알맞은 여러 가지 코끼리로 갈라졌는데, 그 중에 현생하는 2종의 조상이나 유명한 매머드가 번성하였다.

일본 홍적세 지층에서 발견된 나우만코끼리(Palaeoloxodon naumanni)는 약 100만 년 전에 동남아시아에서 이동해 온 것으로, 현재의 아프리카코끼리 계통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어깨높이는 2.5∼3m이며, 몸집이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앞니가 위쪽으로 휘어져 있다.

코끼리의 진화 본문 이미지 1메리테리움팔라이오마스토돈프리멜레파스곰포테리움디노테리움아메리칸 마스토돈스데고돈아프리카코끼리아시아코끼리매머드에오세올리고세마이오세플라이오세장비목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관련이미지

아메리카마스토돈

아메리카마스토돈 미국 워싱턴DC 국립자연사박물관.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