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과 자연환경

지명과 자연환경

케이프타운 시가지

케이프타운 시가지

 자연환경적인 지명으로는 동서남북과 같은 방위를 표시하는 지명으로부터 산 ·천(강) ·곡(谷) ·해 ·포(浦) 등과 같은 광범한 지형의 지역명 외에 미지형(微地形), 기타의 특수 지형을 나타내는 지명도 있다. 한국의 산에는 산 ·봉 ·악(岳 ·嶽) 등이 붙여진 것이 많으나 그 밖에도 덕(德) ·암(岩) ·등(嶝) ·대(臺) ·태(台 ·坮) ·단(壇) ·덤(더미 ·퇴미 ·티미) ·응(鷹) ·목[項] ·동(洞) ·평(坪) ·당(堂) ·두류(頭流) 등과 같이 독특한 산지를 나타내는 지명이 많다. 지질을 표시하는 지명으로는 백(白) ·지명과 자연환경 폰트 이미지 1[明 ·白] 등을 비롯하여 검불랑(劍拂浪:黑) ·거문오름[拒文岳:黑] ·흙붉은오름[土赤岳:赤] 등과 같이 토질을 나타내는 곳도 있고, 구혈(甌穴)을 뜻하는 용탕(龍盪)의 탕(盪), 하안단구(河岸段丘)를 뜻하는 중평(仲坪) ·노평(蘆坪) 등의 평(坪), 삼각주를 뜻하는 주(洲) ·도(島) 지명이 있다.

하천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분수령 가까이에 수분리(水分里), 중류 유역에 있는 중강진(中江鎭), 하구 가까이에 있어서 하단(下端) ·강구(江口), 강의 동 ·서안에 있으므로 하동(河東) ·강서(江西), 위치에 따라 전천(前川) ·하빈(河濱) ·천변(川邊) 등이 있다. 물맛이 좋다 하여 달내[達川:단물이라는 뜻] ·감물(甘勿:단물이라는 뜻) ·감천(甘川) 등이 있고, 홍수 걱정이 큰 곳에는 수풍(水豊) ·물금(勿禁:水禁이라는 뜻) 등이 있다. 강의 합류점은 교통 편이 좋아서 취락이 잘 발달한다. 합수(合水) ·양수(兩水) ·수합(水合) ·합강(合江) ·합천(合川) ·양강(兩江) ·삼강(三江) ·교하(交河) 등과 수구(水口) ·강구 ·어구(於口) 등의 지명이 많이 붙여져 있다.

하천이 곡류(曲流)하는 곳에는 곡수(曲水) ·곡천(曲川) ·곡강(曲江) ·수곡(水曲) ·좌곡(左曲) 등과 같은 곡 지명과 수회(水回) ·도랫말[回洞] ·강돈(江敦:돈다) ·수도리(水島里:물이 돈다는 뜻) 등의 회지명(回地名)이 있으며, 그 밖에도 구비(仇俳) ·궁(弓) ·을(乙) ·지(之) 지명과 같이 곡류의 모습을 딴 지명도 많다. 돌[石:돈다, 돌다라는 뜻] 지명으로 각지의 석우리(石隅里:경기의 마석우리, 磨石隅里와 같음)는 돌물[回水, 石隅:돌머리, 도는 물이라는 뜻]이 많다.

외국에도 케이프타운(Capetown) ·케이프 케네디(Cape Kennedy)와 같이 곶(串)에서 비롯된 자연명이 지명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중국에도 장시[江西] ·후난[湖南] ·쓰촨[四川) ·허베이[河北] 등과 같이 자연지명이 많다. 한국의 온천에는 온천 ·온정(溫井)등과 같이 온(溫)자 지명이 있고, 물이 중요한 데서 정(井) ·천(泉) ·수 ·지(池) 등과 같은 지명이 많으며, 수원(水原) ·김천(金泉) ·정읍(井邑) ·예천(醴泉) 등도 우물과 관계되는 큰 고을의 지명이다.

해안에는 곶을 뜻하는 갑(岬) ·곶 외에도 말(末) ·단(端) ·감(坎) ·두(頭) ·지(只)가 붙은 지명이 많이 쓰이고 있다. 한국의 해안에는 가람을 뜻하는 지명과 자연환경 폰트 이미지 2지명이 무수히 분포한다. 즉, 금(金, 錦, 今, 禽) ·구미(九味) ·고막(古莫) ·고마(古馬) ·가막(加莫, 駕莫) ·계마(桂馬) ·혈(穴:구멍) ·부(釜:가마) ·흑(黑:검) ·웅(熊:곰) 등이 모두 지명과 자연환경 폰트 이미지 3계의 지명이다. 섬에는 야도(冶島) ·대도(大島) ·죽도(竹島)가 많은데 이들은 모두 무인도를 뜻한다. 야(冶)는 불무(不無)로 무인도를 뜻하고, 대도(大島)는 대(대머리)의 무인도라는 뜻이며, 죽도(竹島)도 죽은 대이므로 역시 무인도라는 뜻이다. 독도(獨島)를 일본이 다케시마[竹島]라 하는 것도 독(獨) → 독(禿) → 대 → 대[竹]로 음이 건너가서 붙여진 지명이므로 다케시마도 한국어인 셈이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