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음악의 특색

중국음악의 특색

중국음악은 국가 ·궁정 ·귀족 등 지배계급의 음악(雅樂 ·燕樂)과 서민의 음악(劇樂), 그 중간인 사인(士人)의 음악(琴樂:七絃琴) 등의 구별이 있었고, 유교의 예악사상에 바탕을 둔 의례음악과 즐기기 위한 예술음악과의 구별이 있었으며, 중세 이래에는 극악(劇樂) ·사설조(辭說調) 등의 성악(聲樂)이 많아졌다.

또 주나라 때부터 5성 ·7성(宮 ·商 ·角 ·變徵 ·徵 ·羽 ·變宮)이나 12율의 산정법(算定法)이 학문으로서 논의되었으나, 중세 이후에는 5음음계(도 ·레 ·미 ·솔 ·라)를 많이 써서 단선율적이 되고 리듬은 짝수 박자계의 뚜렷한 리듬이 일반적으로 쓰였다.

현존하는 여러 종류의 중국음악을 통해서 5음음계에 의거한 전형적인 중국풍 멜로디의 성격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