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스타일

1960년대 스타일

[ 1960's style ]

요약 모즈룩과 영패션으로 대표되며 몬드리안룩, 코스모코르룩(우주룩), 밀리터리룩, 밑단이 넓은 판탈롱, 옵티컬 아트, 사이키델릭 아트 등에서 모티프를 얻은 미니스커트가 유행한 패션 스타일.

1961년에는 미국의 퍼스트 레이디였던 재클린이 즐겨 입던 버튼다운룩이 세계의 여성들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1962년에는 마크 보앙이 발표한 스커트가 정장의 하이패션에 등장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초 새로운 젊은이 문화가 영국에서부터 일어났다. 모너니스트(modernist)의 줄인 말인 모즈 운동은 화이트 칼라의 노동자들로 구성되었는데 스쿠터를 타고, 말쑥하고 슬림한 테일러드 옷을 입고, 재즈 음악을 듣는 젊은이들을 일컬었다. 그들은 ‘푸딩 그릇’ 같은 머리나 ‘프랑스식 컷’을 즐겼다.

그 당시 로커(rockers) 같은 하위 문화의 머스쿨린룩과 비교해 댄디(dandies)라 불렀다. 비틀스는 대중 음악을 혁신했고, 앤디 워홀은 예술을 변혁했다. 이런 매체의 하나로서 패션 또한 변화하였다. 영국의 록그룹 비틀스의 초기 복장을 모방한 비틀스룩(beatles look)은 모즈룩의 하나였다. 짧은 스커트, 밝은 컬러, 그래픽 패턴, 특이한 소재와 같은 요소들이 매스 마켓부터 오트쿠튀르 산업까지 패션을 변화시키면서 1960년대의 패션에 영향을 끼쳤다.

1960년대는 처음으로 젊은 디자이너가 젊은이의 옷을 디자인하였다. 메리 퀀트는 최초로 영룩을 창조한 런던의 디자이너였다. 그녀의 미니스커트는 무릎 위 5~6인치의 미니에서 무릎 위 8~10인치의 마이크로 미니 스타일이었다. 앞가슴의 노출이 없어지고 하이네크 라인에 짧은 스커트, 심플한 형태, 편평한 구두, 짙은 눈화장을 한 스타일을 첼시룩이라 불렀다. 첼시룩은 대중적이 되어 미국 등 다른 도시로 널리 퍼지게 되었고, 그때부터 영국은 1960년대 패션과 디자인의 중심이 되었다. 영국에서 시작된 이 패션은 스윙 런던룩으로 알려졌다.

1965년은 패션 혁명의 전환기였다. 1965년에 미니스커트의 인기는 보편화되어 프랑스 디자이너 앙드레 쿠레주에 의해 스커트의 길이는 파격적으로 짧아졌다. 그의 순백색의 기하학적 드레스는 무릎 위로 몇 인치나 올라갔으며 여기에 화이트 부츠와 초현대적 모자를 조화시켰다. 스커트의 길이는 점점 짧아져 1966년에는 더 올라갔다. 미니스커트와 더불어 컷 아웃 룩과 비닐 가 1965년에 새로 선보였다. 또한 대담한 패턴의 텍스타일이 증가했다. 패턴은 점점 그래픽적이 되어 추상적 꽃무늬 패턴, 옵아트, 팝아트 디자인이 많아졌다. 영국의 젊은 디자이너들 사이에서 시작한 뉴스타일은 빠르게 프랑스와 미국 등지로 건너갔다.

프랑스에서는 엠마누엘 칸, 소니아 리키엘, 벳시 존슨 등이 활동하였다. 벳시 존슨은 비닐, 셀로판, 밧줄고리, 쇠 장식 등의 특이한 소재를 사용하여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또한 존 베이트는 1960년대 TV 드라마 《어벤저 The Avengers》 의 다이애너 리그의 의상을 디자인하면서 유명해졌다. 그것은 심플한 A라인 드레스로 미드리프에는 비치는 얇은 망사로 처리되어 있다. 파코 라반느, 이브 생 로랑, 웅가로, 발렌티노 등도 이 시기에 활동한 디자이너이다.

1960년대 여성들은 아주 캐주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바지를 전혀 입지 않았다. 그러나 1963년 퀀트는 외출복으로 입을 수 있는 여성용 바지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어 1964년 앙드레 쿠레주는 외출복 여성용 바지를 선보였다. 1970년 퀀트는 그 이전보다 더 짧은 바지인 핫팬츠를 디자인했다. 이것이 1970년대 초반의 브리프(brief) 패션트렌드를 이끌었다. 1966년에는 우주시대를 맞아 패션에도 피에르 이 발표한 스페이스룩이 나타났다. 1960년대 중반에는 주류인 모즈 패션에 도전하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났다. 1966년부터 스커트가 길어지기 시작하였다. 1967년 영화 《보니와 클라이드 Bonnie and Clyde》의 페이 더너웨이가 미디스커트를 즐겨 입어 1930년대 룩을 리바이벌했다.

젊은 디자이너들은 로맨틱과 오리엔탈적 요소를 디자인에 가미했다. 그들은 1967년 히피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많은 디자이너들이 인디언, 아시안 프린트 또는 드린들 스커트, 네루 재킷, 튜닉, 와 같은 동양적 형태를 모티프로 삼았다. 재킷은 더블 브래스트, 팬츠 슈트는 러플 블라우스와 긴 재킷으로 특징된다. 1968년 후반부터 벨보텀 팬츠 또는 엘리펀트 팬츠가 나타났다. 또한 1967년 디오르, 니나리치, 장 파투 등의 작품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사파리룩, 아이비스타일, 레이어룩, 에이치라인, 네오사이키델릭 등도 1960년대에 유행하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4년까지 숏스커트와 롱스커트 사이에 논쟁이 많았으나 1970년대 초부터 롱스커트가 유행하였다. 1960년대의 특이하고, 스마트한 멋진 옷들은 1970년대에 ‘내추럴’ 스타일로 변화하였다.

참조항목

, , , , , ,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