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리론

주리론

[ 主理論 ]

요약 조선시대 성리학의 양대 학파 가운데 하나.

(理氣二元論)을 바탕으로 하는 에서, 우주 만물의 궁극적 실재를 이(理)로 보는 이황(李滉)의 학설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철학을 가리킨다. 즉 이(理)와 기(氣)가 어디까지나 두 가지이지 한 가지가 아니며, 기는 결코 상존하지 않고 생멸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이는 항존불멸하는 것으로 기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이며, 능동성을 가진 이가 발동하여 기를 주재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心性論)의 주요 논제인 (四端七情)을 설명함에 있어 심성 내부에 존재하는 천부적인 선한 본성인 사단은 이가 발동한 것이고, 선과 악이 섞여 있는 칠정은 기가 발동한 것이라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주장하였다. 이언적(李彦迪)이 처음 주장한 것을 이황이 집대성하였고 이현일(李玄逸), 이재(李栽), 이상정(李象靖), 유치명(柳致明), 이진상(李震相), 이항로(李恒老) 등에게 계승되었다.

참조항목

, , , , , , ,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