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론

주기론

[ 主氣論 ]

요약 조선시대 성리학의 양대 학파 가운데 하나.

(理氣一元論)을 기본 이념으로 하는 에서, 우주 만물의 존재 근원을 기(氣)로 보는 이이(李珥)의 학설을 계승한 기호학파의 철학을 가리킨다. 즉 기(氣)만이 능동성을 가지고 발동할 수 있으므로 모든 현상은 기가 움직이는 데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理)는 단순히 기를 주재하는 보편적 원리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이를테면 사람의 의식이나 감정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해 심성 내부에 존재하는 기가 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심성 내부의 기질을 선한 것으로 변화시키면 자연히 인간의 선한 본성이 드러나게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心性論)의 주요 논제인 (四端七情)을 설명함에 있어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동하여 된 것이며, 사단은 칠정 가운데 선한 측면만을 가리키는 개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념적 윤리보다 실천적 윤리를 중시하는 이 견해는 서경덕(徐敬德)에서 비롯되어 이이에 의해 집대성되었으며, 김장생(金長生), 정엽(鄭曄),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에게 계승되었다.

참조항목

, , , ,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