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의 이론

제국주의의 이론

제국주의적 대외팽창이 국제적 긴장을 고조시켜 1898년 이 영국과 프랑스를 전쟁으로 몰고 갔다. 1899∼1902년 남아프리카의 에서 50만 명의 병력을 투입하여 승리한 영국은 국제여론의 비난을 받아 고립되었고, 그러한 경험이 영국국민들로 하여금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제국주의 정책에 대한 비판은 영국의 저널리스트 존 앳킨슨 홉슨의 《제국주의론》(1902)에서 시작되었다. 홉슨은 제국주의를 자유주의적인 경제학자의 입장에서 비판하였는데, 먼저 자본의 집중, 경제의 기생성(寄生性), 과두지배(寡頭支配), 군국주의 등의 특질을 지적하고, 그것을 에서 유래되는 정책이라고 주장하였다. 홉슨에 의하여 시작된 제국주의의 이론적 해명은 그 후 유럽의 자들에게 계승되었다.

또한 오스트리아의 루돌프 힐퍼딩은 《금융자본론》(1910)을 저술하여 금융자본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금융자본이 채용하는 정책으로서의 보호관세·덤핑·국제카르텔·트러스트·자본수출·식민지분할경쟁 등이 제국주의라고 하였다. 힐퍼딩은 단계 특유의 여러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제국주의를 금융자본의 단순한 정책으로 보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로자 룩셈부르크는 《자본축적론》(1913)에서 자본주의는 자본확대를 위한 비자본주의 지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획득하려는 경쟁이 제국주의라고 말하였다. 그는 세계대전의 위기를 간파하고 식민지 침략을 예리하게 분석하였으나, 제국주의의 본질파악에는 실패하였다.

제2인터내셔널의 이론적 지도자인 카를 요한 카우츠키는 힐퍼딩의 이론을 발전시켜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노이에 차이트》지(誌)에 3편의 논문, <제국주의론>(1914) <재고를 요하는 2서(書)>(1915) <제국주의 전쟁>(1917)을 발표하였다. 그는 여기서 대기업의 경쟁이 국제적 금융자본이라는 전세계적 트러스트를 형성하여 그것을 기초로 국가간에 협조가 이루어져 경쟁과 전쟁이 사라진다는 이른바 초(超)제국주의론을 전개하였다.

이에 대하여 의 블라디미르 레닌은 1916년 《자본주의의 최고단계로서의 제국주의》를 저술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독점단계로 규정하고, 그 경제적 특징으로서 ① 생산과 자본의 집중·집적에 의한 독점의 형성, ② 산업자본과 은행자본의 융합에 의한 금융자본의 성립, ③ 상품수출 대신에 증가되는 자본수출, ④ 국제카르텔에 의한 세계시장의 분할, ⑤ 열강에 의한 식민지 분할의 완료 등을 들었다.

또 레닌은 독점자본주의의 기생성·부패성, 그에 수반되는 정치의 반동화를 지적하고, 제국주의는 자본주의의 최후의 단계이며, 그것은 에 의하여 극복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마르크스주의적 제국주의론에 대립되는 것으로서 조지프 슘페터의 《제국주의의 사회학》(1919)이 있다. 그는 여기서 제국주의는 자본주의와 기원을 달리하는 것이며, 근대사회에 남아 있는 봉건적 요소가 대외팽창과 국제대립이라는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나타난 격세유전(隔世遺傳)이라고 설명하였다. 즉, 제국주의는 절대주의가 완전히 청산되지 못하여 발생한 것이며, 자본주의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는 합리화되고 제국주의는 소멸한다고 주장하였다.

참조항목

,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