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령팔조목

삼강령팔조목

[ 三綱領八條目 ]

요약 《대학》에서 밝히고 있는 학문의 대요.

《대학》 경문(經文)에 있는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於至善)의 셋을 삼강령이라 하고, 평천하(平天下) ·치국(治國) ·제가(齊家) ·수신(修身) ·정심(正心) ·성의(誠意)·치지(致知) ·격물(格物)의 여덟 조목을 팔조목이라 한다.

이 말은 때 《대학》이 사서의 하나가 되면서부터 사용되었다. 삼강령·팔조목은 대학을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한 항목이라도 없으면 과정에 차질이 생기게 된다.

조선시대 권근(權近)은 《입학도설(入學圖說》의 <대학지도(大學之道)>에서 삼강령·팔조목의 상호관계를 체계적으로 도식하여 후학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도모하였는데, 이는 이황(李滉)에 의하여 《성학십도(聖學十圖)》의 하나가 되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