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의 안전성

원자력발전의 안전성

요약 핵발전으로 발생되는 방사능물질이 노출되지 않도록 취하는 각종 기술과 안전장치.

원자력발전소 설계의 기본 개념은 첫째, 어떤 경우에도 에 중대한 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 만약 이상이 발생할 때 이를 사고로 파급되지 않게 자동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셋째, 이상상태를 억제하지 못하여 사고로 진전될 경우 그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든 재료와 부품 용량을 여유있게 설계하고, 중요설비는 예비설비와 이중계통을 갖추어 한 기기가 고장나면 즉시 다른 기기가 그 기능을 맡을 뿐 아니라 동력원도 다중화하여 외부전원이 모두 끊겨도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비상 디젤발전설비을 갖추고 있다. 또 중요 설비나 계통을 한 군데로 모아 놓지 않고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시켜 두어서 어느 한 쪽에 이상이 있어도 다른 한 쪽은 건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발전소 부지는 자연재해에 견딜 수 있도록 각종 정밀조사를 거치며 구조물 및 설비에 대한 내진설계를 수행하고, 원자로는 비정상적인 요인으로 핵분열 연쇄반응이 급격히 증가할 때 스스로 핵분열을 억제하여 사고를 저지하는 고유 안전성을 보유하도록 설계한다. 하지만 이런 기술적인 조치에도 불구하고 자연재해 또는 운영자의 실수 등으로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핵발전소의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