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선의 측정장치

우주선의 측정장치

우주선을 관측하는 데는 각종 계수기(計數器) ·이온화상자 ·안개상자 ·원자핵건판 ·스파크상자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 안개상자는 이온화상자와 함께 우주선 측정기로서 초기의 우주선 연구에서 중요한 구실을 했으며, 이것에 의해 우주선에 관한 많은 초보적 지식이 축적되었고, (陽電子)를 비롯하여 몇몇 새로운 입자도 발견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이온을 잘 만들지 않는 고에너지인 입자에도 감광(感光)하는 원자핵건판이 나타난 후에는 경량성(輕量性)이라는 이점도 있어 우주선 측정기로서 원자핵건판이 많이 쓰이게 되었다.

특히 나 에 의한 고공에서의 우주선 관측을 가능하게 한 점에서 원자핵건판을 개발한 의의는 크다. 스파크상자도 근래의 우주선 관측에서 많이 이용되는 측정장치인데, 특히 1957년 개발된 네온관의 무극방전(無極放電)을 이용하는 네온 호도스코프는 관측에 큰 성과를 올렸다. 이것은 도전(導電) 유리로 만든 네온관을 계수기와 짝지워서 병행으로 많이 배열하고, 이것을 여러 단 겹친 것으로, 샤워가 통과한 직후에 네온관에 순간적인 고전압이 걸려 입자의 통로에 해당하는 네온관이 방전에 의해 빛나 그 비적(飛跡)이 잡히도록 되어 있다. 그 후 개량되어, 방전이 네온관 전체에 퍼지지 않고 입자가 통과한 부분만이 국소적으로 빛나서 비적을 더 정확히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