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박

은박

[ silver foil , 銀箔 ]

요약 은의 전성ㆍ연성을 이용하여 얇게 늘여 펴서 종잇장처럼 만든 금속의 박(箔).

종이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므로 은박지(銀箔紙)라고도 하는데, 조리 때의 깔개나 포장지 등으로 많이 쓰이는 은박지 즉 알루미늄박이나 은색 종이와는 그 성질이 전연 다르다. 은은 (展性)·(延性)이 많아서 두께 0.15㎛ 정도까지의 제품을 만들어낼 수가 있다. 박을 만들어내는 공정 그 자체는 금박(金箔)의 제작 공정과 거의 비슷하나 금박보다 전성은 낮지만 금보다는 값이 훨씬 싸서 금박 제작보다 유리한 면도 있다. 이 박을 만들어내는 마무리 과정은 일반적으로 과 을 윤활제 또는 접착 방지제로 고르게 바른 종이 사이에 박을 만들 재료를 끼워, 이것을 은박 제조기에 집어넣어서 얇고 고르게 펴면 종이처럼 매끄럽고 고운 얇은 박이 된다. 이 박은 금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래 전부터 주로 미술공예품 제작이나 부유층 인사들의 소장품 장식용으로, 혹은 은실의 원사(原絲) 제조 등에 원료로 많이 쓰여 왔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시대에 여인들이 호신용 겸 노리개로 많이 사용하였던 은장도(銀粧刀)가 유명한데, 은장도의 자루 즉 손잡이와 칼집에 은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의 장식을 예쁘게 함으로써 훌륭한 공예품으로 만들었다. 이 밖에 신분이 높은 무관이나 용(儀仗用)의 긴 칼자루와 칼집 등에 은장이 사용된 경우도 많다. 은장도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 특히 부녀자들의 생활과 밀접하였던 대표적인 공예품으로서 지금까지도 그 맥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가 흔히 은박지·은박인쇄 등이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알루미늄박 또는 그것을 이용하여 하는 인쇄(양장 제책 때의 표지 등에 하는 특수인쇄)를 말한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