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 식물화석

미세 식물화석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식물화석 외에도 (花粉) · ·규조(珪藻) · 등 현미경적인 미세화석이 있다. 이것들은 전체 형태가 보존되며, 잘 파괴되지 않아서 다량으로 산출되어 통계처리의 대상이 되므로, 고생태(古生態) ·고기후(古氣候) 추정에 유효하다. 광학현미경의 한계 부근의 초미세화석도 연구되며, 나노플랑크톤(nanoplankton)이 대상이 되고 있다. 지층연대(地層年代)의 대비에는 만큼 유용하지 않지만 식물화석의 연구는 식물계통학의 중요한 밑받침이 되며, 고생태학 ·고기후학에 기여하고 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