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과 수술기계

수술실과 수술기계

수술용 의료도구

수술용 의료도구

옛날에는 극히 원시적인 메스·가위 ·핀셋 ·소식자(消息子) ·바늘 등으로 수술이 행하여졌다. 또 수술실과 의사의 진료실이 겸용되었던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근대 외과수술이 행하여지게 된 후부터는 수술에만 쓰이는 전용실이 생겼다. 수술실은 준무균대(準無菌帶)를 표준으로 하며, 화농성균의 산포를 막기 위하여 수술에 임하는 의사 ·간호사들은 소독된 의복 ·신발 ·캡 ·마스크 등을 착용한다.

근대적 수술실은 대규모의 수술에 적합하도록 36㎡ 이상의 넓이로 되어 있고, 약 22℃의 실온을 유지하며 무균 공기의 충분한 환기를 하도록 되어 있다. 조명장치로는 무영등(無影燈)을 비치하고, 바닥은 폭발성 가스에 대비하여 전전(電傳) 바닥으로 한다. 파이프로 산소를 공급하는 흡인장치를 설비한다.

그밖에 충분한 멸균수(滅菌水)가 공급되는 수세장이 필요하다. 수술이 다방면으로 분화되고 있으므로 수술실도 점차로 전문화의 경향을 띄게 되어 수술의 성질에 따른 설비를 갖추게 되었다. 예를 들면 심장외과수술의 목적에는 인공심폐장치(人工心肺裝置), 뇌외과용으로서는 뇌파장치(腦波裝置) 등이 설치된다.

수술기기에서도 마찬가지로서 수술의 목적에 따라 가위 등도 그 형태 ·크기 등이 다른 수십 종의 것이 고안되어 있다. 또 뇌외과에서는 단시간에 두개를 열 목적으로 고속의 터빈식 드릴이 개발되어 있다. 이 개두기(開頭器)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30분 이상 소요되던 개두작업의 시간이 수분으로 단축되어 출혈량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 두개 내 수술이나 귀의 미세한 수술에는 고성능의 쌍안경을 사용하여 육안으로는 인지하기 어려운 혈관의 수술이나 뼈수술 등을 하고 있다. 또 360 ° 회전이 가능한 X선 텔레비전용 이미지스코프 카메라는 사지의 골절치료나 이물의 적출에 사용된다.

이 장치는 뇌의 극히 일부를 수술적으로 파괴하여 치료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뇌정위수술법(腦定位手術法)에도 응용되고 있다. 이 뇌정위수술법이란 직각으로 교차되는 위치에 둔 X선관구(線管球)에 의하여 촬영된 필름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점을 선택하고, 이 점을 향하여 극히 미세한 전극을 찔러 넣어 고주파전류를 흐르게 하여 목표 부위를 파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여 (不隨意運動)이라는 이상운동증을 치료하게 되었고, 암 등에 의한 강한 통증의 치료도 시상(視床)이라는 대뇌기저핵(大腦基底核)의 일부를 이 방법으로 파괴함으로써 달성되었다.

근년에 개발된 혈관봉합기(血管縫合器)는 외과수술에 비약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종래에는 동맥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외과수술이 행하여졌다. 즉 중요한 동맥이 보존되지 않으면 그 조직을 절단 ·제거하는 이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고성능의 혈관봉합기는 지름 1.5mm의 작은 혈관까지 수분 이내에 완전한 봉합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외상에 의하여 한 번 절단된 사지라도 주요한 동맥·정맥의 봉합에 의하여 거의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복부의 장기도 일시적으로 드러내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되돌릴 수 있게 되는 등 혈관외과수술이 비약적인 진보를 하고 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