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수산업

세계의 수산업

대구잡이

대구잡이

세계의 수산물 생산은 인구의 증가에 따른 수요의 증대, 수산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고양,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생산기술의 발달 등으로 꾸준히 성장하여 포유류 및 해조류를 제외한 총생산량은 1984년 8천만M/T, 1986년 9천만M/T을 넘었으나, 이후 자원 감소로 1억M/T대에 이르는 성장속도는 크게 둔화되고 있다.

상위 10위까지 국가별 생산량을 1992년 통계에서 보면 1위는 1980년대 후반기부터 급성장하기 시작한 중국이 1500만M/T을 생산, 세계 총생산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2위는 기술수준으로는 세계 최고인 일본이 846만M/T, 3위 로 684만M/T, 4위 로 650만M/T, 5위 561만M/T, 6위 미국 560만M/T, 7위 417만M/T, 8위 인도네시아 336만M/T, 9위 286만M/T, 10위 한국 270만M/T의 순이다.

대양별로 태평양 62%, 인도양 8%, 남빙양 1%로 태평양이 1위이고, 특히 한국·일본·러시아 등이 속하는 태평양 북서부 해역의 생산량이 가장 많으며, 다음은 페루·칠레가 속하는 태평양 남동부해역이다. 내수면의 생산량은 중국이 포함된 아시아 대륙이 전체의 75%를 차지한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브라질의 어부들

브라질의 어부들 아마존 입구인 브라질의 도시 벨렘의 어부들이 어획된 생선들을 내리고 있다. 출처: cor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