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립자론의 성격

소립자론의 성격

현재 소립자 현상을 완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소립자의 이론 체계는 완전하지 않다. 그 기본이 되는 장(場)의 양자론이 수학적 내부모순(內部矛盾)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그 모순을 제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하나의 과제로 되어 있다. 이것이 해결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이해과정을 전면적으로 믿을 수 없다. 그것은 소립자를 생각하기 시작한 처음부터 존재하고 있던 기본적인 문제인데, 그 후 점차 다른 문제도 중요하게 되었다.

고에너지 입자가속기나 우주선(宇宙線) 분석을 통해 소립자의 종류는 점점 증가하여, 현재 소립자로서 동등한 자격을 갖춘 것이 200종류를 넘고 있다. 그 종류는 더욱 증가되어 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서로 깊은 관계를 가진 모든 소립자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소립자가 왜 이렇게 종류가 많은가 하는 이유로까지 소급하여 논의되어야 한다. 소립자의 존재 이유를 모르면 미지의 소립자를 상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소립자론이 원래 소립자의 행동을 지배하는 법칙을 통하여 자연의 기본법칙을 알려는 목적을 가진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그렇다면 소립자의 이론 체계를 만드는 경우에 장애가 된 수학적 내부모순의 해결도 소립자가 다수 존재한다는 이유와 깊이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한편에서는 자연철학(自然哲學)의 흐름을 타고, 다른 한편으로는 (經驗科學)으로서의 흐름을 살펴, 소립자론은 이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여야 비로소 완성될 것이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