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누의 제조

비누의 제조

비누 제조는 유지 또는 지방산에서 비누를 만드는 비누소지공정(素地工程)과, 소지를 각종 제품으로 만드는 소지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소지 제조법 중에서 염석법이 가장 일반적인데, 유지로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를 증비법(蒸沸法), 지방산인 경우를 중화법이라고 한다. 증비법에는 회분식(回分式)과 연속식이 있다. 회분식은 비누화 솥에 유지와 용액을 넣고, 여기에 생증기(生蒸氣)를 불어넣어 100℃ 정도로 가열하여 비누화를 시킨다. 여기서 얻는 비누화액을 비누아교라고 한다. 다음에 비누아교에 식염을 가하여 염석하면 비누는 커드(curd) 모양의 덩어리가 되어 위층으로 떠올라, 글리세린이나 불순물, 소량의 비누를 함유하는 수용액(폐액)과 분리된다.

커드비누는 아직 비누화가 안 된 기름이나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세척·염석을 되풀이한 다음, 마지막으로 다시 끓여 불순물이 적은 비누를 얻는다. 중화법의 경우도 대체로 증비법과 같으나, 알칼리는 수산화알칼리 외에 수산화알칼리와 탄산알칼리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연속법에서도 조작은 회분법과 마찬가지이지만 비누화·염석·세척·마무리끓임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비누소지는 그 목적에 따라 가공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기계반죽비누와 틀반죽비누가 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