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성암의 산출형태

변성암의 산출형태

가 지하에서 관입(貫入)하게 되면 주변의 암석에게 열에 의한 변성작용을 일으킨다. 이 때 접촉부에 따라 대상(帶狀)의 접촉변성대를 형성한다. 마그마의 크기와 성질에 따라 그 규모는 다르지만 대체로 주변에 국한되어 소규모의 변성대를 이룬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변성암이 접촉변성암이다.

한편 (造山帶)에서와 같이 넓은 지역에 걸쳐 변성작용이 일어나게 되면 광역변성암(廣域變成岩)이 형성된다. 비교적 높은 열을 받은 조산대 중심부에는 고온의 변성암이 그 외각부에 이르게 됨에 따라 점차 저온성 변성암이 분포하여 광역변성대를 이룬다. 또한 퇴적암이나 화산암이 두껍게 쌓이면 축적되는 지열로 열변성 작용을 받게 된다. 원래의 (層理)는 보존되어 퇴적암층처럼 보이지만 조암광물은 이미 변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변성암이 매몰변성암(埋沒變成岩)이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