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공예품

백제의 공예품

무령왕릉 출토 유물

무령왕릉 출토 유물

백제시대에 대표적인 공예품은 무령왕릉 출토품이다. 관모 ·귀걸이 ·목걸이 ·팔찌 ·허리띠 ·신발 ·청동거울 ·청동그릇 ·숟가락과 젓가락 ·동탁은잔 ·다리미 ·각종 구슬 등이 있다. 순금제 목걸이 2개는 마디의 도안이 세련미가 돋보이는 현대식이다. 팔찌는 금제와 은제, 동제가 있으며, 명문이 있는 은제는 제작년대와 제작자 이름이 있는 삼국에서는 유일한 용무늬 팔찌이다. 은제허리띠로는 공주 송산리1호, 정읍 운학리 과판이 있다. 무령왕의 과대는 방형의 과판에 요패로 수식한 것으로 투조 방형과판과 심엽형 장식을 달았다. 대형요패는 도깨비 ·두꺼비투조무늬와 돋을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이들 형식들은 거의 신라의 허리띠와 같은 형식으로 문물교류 현상을 알 수 있게 한다. 청동신발은 무령왕릉과 입점리, 나주 신촌리 등에서 출토하였다. 얇은 동판 2~3장으로 신발을 만들고, 능형의 구획에 타출무늬로 장식하고, 바닥에는 큰 못을 박았다. 큰칼환두대도는 소환 ·삼엽 ·원두 ·은장 등이고, 무령왕릉 금은장단용 대도의 환두표면에 일신양두용(一身兩頭龍)이 양각되고, 환두 아래, 위에는 귀갑 무늬 내에 봉황이 조각되었다. 남원 월산리 환두는 금 ·은으로 귀갑무늬내에 화문을 선상감(線象嵌)하였다. 이러한 상감품의 예는 백제가 4세기 후반에 하사한 유명한 칠지도가 일본 덴리시[天理市] 이소노카미신궁[石上神宮]에 있다. 이 밖에 관장식 ·관못 ·은제병유리구의 화문과 뒷고지 ·부소산 청동향로 ·금동봉황장식 ·금성산 청동탑편 ·금강사지 청동수각(獸脚) ·구아리 청동귀면 ·미륵사지와 능산리 금동풍탁 등이 있다. 그 중 백제 금속공예품의 백미라 할 수 있는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가 있다. 이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는 능산리에서 출토되었으며, 도교사상에서 보이는 동해신산을 표현하여 5인의 주악상 정상부의 봉황, 대족부에 용, 각종 식물과 동물 등을 실감있게 조각하였다. 이는 당시의 사상 ·공예기술 ·회화 ·풍습 ·장식 ·문양사 등 백제예술과 과학기술이 결합한 예술의 극치이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이미지

금동신발

금동신발 백제 5세기. 전남 나주 신촌리 9호분 출토.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