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백과사전

서양의 백과사전

영국에서는 《 Encyclopaedia Britannica》을 1768년부터 매주 분책(分冊)으로 발행하여 71년 3권에 모아 이를 초판으로 하였다. 9판·11판에 이르러서는 세계적 대학자의 기고(寄稿)가 많아져 내용의 충실로 백과사전의 표본이라 할 수 있게 되었다. 1920년 미국 시카고의 시어즈에 매수되어 1936년부터 매년 개정발행해오다, 2012년 인쇄본 생산을 중단하였다.

W.체임버스는 독일의 《 Der Brockhaus Enzyklopädie》 제10판을 바탕으로 해서 1868년부터 《 Chambers's Encyclopaedia》을 매주 분책 발행하여 520주에 완결, 1955년에 15권에 이르러 현재 영국의 대표적 백과사전이 되었다. 또, 소형으로서 호평을 받고 있는 것으로는 《에브리맨백과사전 Everyman's Encyclopaedia》 제15판 12권이 있다.

미국의 《》은 1809년부터 33년 사이 F.리버가 《브로크하우스》 제7판의 번역분을 합쳐서 출판하고, 매년 개정신판과 별도의 연감을 1923년부터 발행하고 있다. 이 밖에 미국에는 《콜리어스백과사전 Collier's Encyclopaedia》 및 《컬럼비아백과사전》 등이 있다. 독일의 《브로크하우스백과사전》은 F.A.브로크하우스가 1796년 G.R.뢰벨이 출판 중이던 《부인백과사전》을 매수하여 1808년 6권본으로 완성한 것이 그 시초이며, 제13판부터 《브로크하우스》로 이름을 바꾸면서 독일의 국민적 백과사전이 되었다. 1957년의 제16판에 이르러 12권·보유(補遺) 3권이 되었으며, 1968년부터 17판이 간행되었다. 동독(東獨)의 대표적백과사전이 된 《 Meyers Neues Lexikon》은 처음에 《마이어스대백과》로 출발하여 초판을 1840∼1852년에 간행하였다. 그후 개정판을 거듭하여 12권을 예정으로 하였던 제8판은 1936∼1942년 9권으로 중단하였으며, 1961∼1964년의 신(新) 8판은 현재의 이름으로 고쳐 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던 구(舊) 8판을 무시하고 8권을 간행하였다.

가톨릭백과사전 《헤르더 회화사전 Herders Konversations Lexikon》(초판 5권, 1853∼1857)은 그후 《그로스 헤르더 Gross Herder》(13권, 1952∼53)로 바뀌고, 그 신판 《Der Neue Herder》 6권이 1965∼1968년에 나왔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은 1766∼1776년에 《19세기 세계대사전》이라는 이름으로 초판 15권이 나왔다. 학술문화가 평이(平易)한 문장과 아름다운 로 이루어진 이 사전의 현재판은 《Grand Larousse Encyclopédique》(10권, 1960∼1963)이다. 이 밖에 학문적 대항목주의의백과사전은 대형 호화판의 《프랑스백과사전 Encyclopédia Française》으로, 1960년 20권이 완간되었다.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 Enciclopedia Italiana》는 1929∼1939년에 36권 부록 2권이 간행되었는데, 이탈리아의 미술과 도시 등에 관한 대논문이 특징을 이루며, 49∼52년에 개정되어 현재 부록 5권으로 늘었다. 소련의 《소비에트백과사전 Bol'shaya Sovetskaya Entsiklopediya》은 1925∼1947년 초판 65권, 1949∼1958년 제2판 51권이 간행되었고, 제3판 30권이 1970년부터 간행되기 시작하여 1980년대 초에 완간되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