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위화합물의 반응

배위화합물의 반응

의 응용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이다. 이것과 관련하여 금속착물의 반응속도론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반응속도는 반응메커니즘에 관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활성착물은 가 신속히 치환되는 것이고, 반응비활성착물은 리간드치환반응이 느린 착물이다. H.타우베는 금속착물의 전자구조와 반응속도와의 밀접한 관계를 지적하고 있다.

또, 배위화합물의 결정장 안정화 에너지와 활성복합체의 그것과 비교해서 반응활성 및 반응비활성의 분류가 가능하다. 금속착물의 반응은 치환반응과 산화환원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치환반응으로는 Sn1 메커니즘과 Sn2 메커니즘이 있는데, 수산이온과 코발트(Ⅲ)의 암민착물과 염기 가수분해반응으로서 Sn1 CB 반응메커니즘(CB는 짝염기)은 잘 알려져 있다.

산화환원반응으로서 외권활성화(外圈活性化) 복합체메커니즘(전자이행메커니즘)과 내권활성화 복합체메커니즘(다리걸침활성화 복합체메커니즘 또는 원자이행메커니즘)의 두 형이 있다. 외권활성화 복합체메커니즘의 예로서 [Fe(CN)64-과 [Fe(CN)63-사이의 전자이행(전자교환)은 극히 신속하게 일어난다.

또, 내권활성화 복합체메커니즘의 예로서 [Co(NH3)5Cl]2+의 [Cr(H2O)62+에 의한 환원반응이 잘 알려져 있으며, 염소이온이 다리[架橋]가 되어 코발트원자와 크롬원자가 연결된 활성화복합체를 가정하여 전자이행 후, 염소이온은 크롬착물 속으로 이행해 가는 반응이다. 그 생성물은 [Co(H2O)6]2+와 [Cr(H2O)5Cl]2-이다. 반응속도론은 착물의 중요한 분야이며, 배위화합물의 화학 또는 배위화학으로서 화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