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학교

인성학교

[ 仁成學校 ]

요약 1917년 2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한인 거류민의 자녀를 교육하기 위해 설립한 초등 교육기관.
구분 초등학교
설립일 1917년
설립목적 중국 내 한인거류민 자녀 교육
주요활동/업무 한문·영어 등의 교육
소재지 중국 상하이

1917년 중국 에서 몽양 여운형(呂運亨)이 설립한 학교이다.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던 여운형이 상하이에 취업하여 머물면서 조선인들의 자녀들을 모아 교육시켰다. 여운형이 공산주의를 접하고 중국혁명에 가담하기 전까지 약 9년간 교장을 맡았다. 처음에는 소속의 사립학교였으나 1920년 상하이 한인거류민단 소속의 공립학교가 되었으며 1929년에는 학생수가 50명에 달했다. 학생들에게 지(智)·덕(德)·체(體)의 함양을 강조하고, 와 한국역사를 중점적으로 가르쳐 한국혼을 불어넣어 주려고 하였다. 자유덕성(自由德性)을 길러주고 민족적 원기를 배양하기 위한 자연교육의 방침 아래, 교과서는 민족의 장래와 시세에 적당한 내용을 골라 자체 편집하여 사용했고 교원은 국내에서 초빙하였다.

이후 여운형의 동생 여운홍(呂運弘)과 선우혁(鮮于爀)·이유필(李裕弼) 등이 학교운영에 참여하였는데, 1919년 가 수립되자 그 산하에 들어갔다. 보습과를 설치하여 졸업생과 국내에서 유학온 학생들에게 중국의 상급학교에 진학하기 전에 한문·영어 등을 교육시켰다. 1924년 보습과를 강습소로 바꾸었고, 1932년에는 과 야간부도 설치하였다. 1926년과 1942년에 교사를 옮겼다. 지·덕·체의 함양과 사회공헌의 훈련을 위하여 상해소년회를 조직하였다. 광복 이후에도 존속하였으나 점차 학생수가 줄어 1975년 폐교되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