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적설량 분포

눈의 적설량 분포

적설량(積雪量)이란 고체의 (눈·· 등)가 지면에 내려서 쌓이는 깊이를 말한다. 따라서 적설량과 강설량과는 그 뜻이 다르다. 강설이 있으나 지면에 쌓이기 전에 녹아버리면 적설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적설량은 눈이 내려서 쌓인 기간과는 관계없이 관측시에 실제로 지면에 쌓여 있는 눈의 높이를 말한다. 적설량은 보통 1cm를 단위로 측정한다.

한반도의 연간 적설일수는 남한에서 1개월 미만이나 북한에서는 그 이상이 된다. 연간 적설일수가 가장 적은 곳은 부산일대로 2일 정도이다. 북한의 중강진은 125일 정도의 큰 적설일수를 나타낸다. 산간지방에서는 평지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적설일수가 크게 나타난다.

한국의 최심적설량(最深積雪量)은 울릉도에서 가장 큰 값인 3m를 나타낸다. 육지에서는 원산과 강릉을 이은 동해안에서 75cm 이상의 큰 최심적설량을 나타내고 목포와 대구 일대에서 50cm 정도의 최심적설량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산간지방에서는 큰 적설량이 나타난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