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학과 공학

기술학과 공학

어떤 기업의 계획부문의 기술자에게 필요한 것은, 자기가 속한 특정한 생산공정의 입장에 서서, 가령 현재 어떠한 나 가 필요한가, 그 구조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를 체득하는 일이다. 이러한 인식의 내용은 생산공정에 관련된 기술학 중에서도 설계기술학(設計技術學) 또는 연구기술학(硏究技術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작·제조 또는 작업공정에 관련된 현장기술자에게 필요한 것은, 예컨대 그 원동기나 공작기계에 관한 설계기술학을 어느 정도 이해하면서 그 지식을 활용하여 목적하는 원동기를 어떻게 제작하는가를 체득하는 일이다.

이와 같은 인식의 내용은 제작기술학 또는 제조기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모든 생산공정의 경우 각 생산공정과 분리되어 생산공정에 공통적인 생산요소 제반에 관한 공학이 존재한다. 예컨대, 원동기공학·자동차공학과 같은 것 등이다. 이러한 공학은 각 생산공정의 특정한 설계목적·제작목적과는 직접적으로는 관계가 없으므로 특정 기업의 생산공정에는 속하지 않는 공학연구실에서 행하여진다.

또한 이들 여러 공학 사이에 더욱 일반적인 공학이 존재한다. 예컨대, 기구학(機構學)·화학공학·전자공학·재료역학·합금학 등이 그것이다. 이들 공학은 생산공정의 생산 제요소에 관련된 앞서의 공학과 구별하여 기초공학(基礎工學)이라고 한다. 기초공학에서는 자연과학과의 관계가 매우 깊다. 그러나 자연과학과 기초공학 사이에는 명확한 구별이 있다. 그것은 기초공학이 취급하는 은 비록 아무리 일반적으로 보이더라도 무엇인가의 기술적 목적을 전제로 하여 그를 매개로 해서 출현한 특수한 자연법칙인 경우가 많다.

가령 기구학에서 취급하는 자연법칙은 역학법칙임에는 틀림없으나, 극히 일반적인 기계생산을 전제로 한 기구(機構)에 나타난 특수한 역학법칙이다. 오늘날 기술학·공학·자연과학은 서로 영향을 끼치고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원자폭탄의 연구로부터 제조까지의 과정에는 기술학·공학·자연과학 사이의 엄청난 상호작용이 있다. 19세기 말의 염료합성기술의 발전도 이러한 예 중의 하나이다.

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