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의 특징

기상의 특징

기상에는 편서풍과 같은 큰 규모의 현상도 있고, 접지층(接地層) 내의 난류(亂流)와 같은 작은 규모의 현상도 있다. 이와 같이 크기도 다르고 길이도 다른 여러 가지 현상이 겹쳐서 나타나고 있으며, 그 규모에 따라 현상을 지배하는 법칙도 다르다.

저기압이나 고기압과 같은 정도의 규모를 가진 기상이 지구자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토네이도(tornado)와 같은 격렬하지만 작은 규모의 현상에서는 지구자전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회전방향이 반대인 토네이도가 나타날 때도 있다.

기상 중에서도 가장 뚜렷한 변화는 물이 대기 내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세 가지 상(相)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서로 상을 바꾸는 변화를 불규칙적으로 되풀이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대부분은 높이 약 12 km(중위도 지방에서) 이하의 에서 나타난다.

기상은 높이에 따라 상태가 다른 입체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변화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어떤 시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를 만들 필요가 있다. 지상과 상층(上層)에 대한 같은 시각의 일기도를 비교하면 입체적 구조를 알 수 있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만든 여러 장의 일기도를 차례로 비교하면 기상이 변화하는 과정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기도를 이용하여 현상을 추구하는 방법이 종관법(綜觀法:synoptic method)인데, 이것은 기상학 특유의 방법이다.

태풍이나 집중호우와 같이 기상은 큰 재해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풍력발전이나 수력발전 등에 이용될 때는 기상자원이 되기도 한다.

교통(항공 ·항해 등) ·농업 ·수산 ·공업 ·레저산업 등 인간활동의 거의 모든 면에서 기상의 영향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날로 더해 가고 있다. 즉, 기상을 잘 활용하면 경제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오늘날 기상예보는 최신 장비를 활용함으로써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수치예보가 실용화되어 24시간, 192시간 앞의 지상 및 상층예상일기도 등을 만들어 내고 있다. 앞으로는 컴퓨터의 발달에 따라 더욱 정확한 예보가 가능해질 것이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