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류의 분류

균류의 분류

균류는 방대한 생물군 체제상으로 원핵균류(原核菌類)와 진핵균류의 2아계(亞界)로 분류하며 다음은 원핵균류에 속한다.

미코플라스마문(Mycoplasmomycota)은 원핵균류 중에서 가장 작은 생물군으로 대형 바이러스 정도 크기이다. 세포벽이 없는 단세포체로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에 위치한다.

세균문(細菌門:Bacteriomycota)은 모두 단세포로 된 미생물로 세포벽은 폴리펩티드·지질·다당류로 구성된다. 많은 종류가 세포 바깥쪽에 점액질로 된 막을 가지기도 하며, 그밖에 편모를 1개 또는 여러 개씩 가진 종류도 있다. 생김새에 따라 구균(球菌)·간균(桿菌)·나선균(螺旋菌) 등으로 나누어진다.

점액세균문(粘液細菌門:Myxobacteriomy-cota)은 단세포체로 세포벽 대신에 점액층으로 싸여 있으며 원기둥 모양이다. 땅속이나 물속에 살며, 지상에서는 식물체나 동물의 분(糞)에 부생(腐生)하며 다른 세균세포를 분해하는 것도 있다.

스피로헤타문(Spirochaetomycota)은 세포벽이 얇고 유연하며 나선형인 난세포체이다. 세포는 주기적인 수축과 함께 축의 주위에 빠른 회전운동을 일으킨다. 이 운동은 세포벽과 세포막 사이에 있어 균체를 감고 있는 축색(軸索)에 의해 이루어진다.

방선균문(放線菌門:Actinomycota)은 단세포체로, 대부분 분지(分枝)한 실 모양의 균사체(菌絲體)이다. 때로는 구균이나 간균 모양으로 되며 그 곳에서 다시 균사가 나온다. 운동은 하지 않는다. 세포벽의 성분은 펩티드 글리칸(peptide glycan)이다. 균사는 관 모양이다. 대다수의 것이 땅속에서 부생하며 사람이나 동물에 기생하는 것도 있다.

진핵균류에 속하는 균류는 다음과 같다. 변형균문(變形菌門:Myxomycota)은 세포벽이 없는 단세포체로 아메바운동을 한다. 단핵인 단세포체(점균아메바)인 것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핵인 변형체이다. 큰 변형체는 곰팡이 모양의 자실체로 변하며 그 표면이나 내부에 얇은 막에 싸인 포자를 형성한다. 포자에서 생긴 (遊走子)에는, 몸의 앞끝에 꼬리 모양의 편모가 2개 있다. 식물세포에 기생하는 것은 체표에서 영양을 섭취한다.

세포점균문(細胞粘菌門:Acrasiomycota)은 세포벽이 없는 단세포체이다. 핵은 1개인데 드물게는 여러 개의 핵이 있으며 점균(粘菌)아메바 또는 미소변형체의 체제를 나타낸다. 미소변형체에서는 단편화(斷片化)하여, 점균아메바에서는 단독 또는 다수가 모여(위변형체라고 한다) 자실체를 형성하며 끝에 포자를 생성한다. 영양체는 변형균문을 닮았으나 편모가 있는 유주자를 만들지 않는다. 동물의 분이나 부식토에 많이 살고 있다.

라비린툴라문(Labyrinthulomycota)은 세포벽이 없는 방추형의 단세포체이며, 해산식물에 기생 또는 부생한다. 단독 또는 집단으로 세포질의 미세한 관 모양의 실로 연결하여 미소한 망상위변형체(網狀僞變形體)를 형성한다. 단세포체는 이 미세관 내를 활주한다. 분열법으로 증식하며, 이들 세포는 나중에 휴면포자가 된다. 포자에서 생성된 유주자의 몸에는 깃 모양의 편모와 꼬리 모양의 편모가 1개씩 달린다.

난균문(卵菌門:Oomycota)은 셀룰로오스질의 세포벽과 다핵을 가진 관 모양의 균사체(菌絲體)이다. 유주자에는 깃 모양의 편모와 꼬리 모양의 편모가 1개씩 있는데 그 형태는 2가지이다. 1차유주자에서는 서양배 모양의 유주자 앞끝에 2개의 편모가 있으며, 2차유주자에서는 신장형의 유주자 옆구리에 깃 모양의 편모가 앞쪽을 향해 있고 꼬리 모양의 편모가 뒤쪽을 향해 있다. 은 배우자접합에 의하여 난포자(卵胞子)를 형성한다. 대부분 수생이며 담수조·해조·수생균에 기생 또는 부생생활을 한다. 드물게는 육생식물에 기생하는 것도 있다.

단모균문(單毛菌門:Chylridiomycota)은 키틴질의 세포벽이 있는 단세포체로, 영양체는 관 모양의 균사체이며 다핵이다. 유주자와 배우자의 몸 뒤끝에 꼬리 모양의 편모가 1개 있다. 공 모양의 세포가 성숙하면 내부에 편모가 있는 유영세포(유주자)가 생겨 밖으로 나온다. 유주자는 편모가 떨어져 나가고 원래의 단세포체로 된다. 여러 가지 생물에 기생 또는 부생하며 균사체가 발달한 것은 환원자(還元者)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우자접합에 의한 유성생식을 한다. 숙주는 담수조류·균류·장구벌레·윤충·속씨식물 등이며 드물게는 해조·어류 등에도 기생한다. 땅속·물속 등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접합균문(接合菌門:Zygomycota)은 키틴질의 세포벽이 있는 균사체로, 기물(基物)의 표면에 번져서 집단을 형성한다. 대부분 육상에서 부생하여 분해환원을 하고 있으며 드물게는 기생하는 것도 있다. 유성적으로는 배우자낭의 접합(균사접합)에 의해서 접합포자를 형성하며 자웅이주형과 자웅동주형이 있다. 무성적으로는 분생자 또는 부동(不動)의 포자낭포자(胞子囊胞子)에 의하여 번식한다. 접합포자는 발아하여 균사를 만들며 그 위에 포자낭자루와 포자낭을 형성한다.

자낭균문(子囊菌門:Ascomycota)은 단세포의 효모균류를 제외하고는 다세포체의 균사가 발달한다. 균사에는 격막이 있고, 유성적으로 접합에 의하여 자낭과 8개의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운동성 포자는 만들지 않는다. 무성적으로는 분생자·포자낭포자·출아(出芽) 등에 의하여 번식한다. 자연계에 널리 생육하며 주로 식물질을 환원하는데 토양·식물의 유체·낙엽 등을 비롯하여 담수·해수에서도 살고 있다. 종류가 많으며 누룩곰팡이·푸른곰팡이·효모균 등의 유용균 외에 식물에 기생하여 병을 일으키는 것도 많다.

담자균문(擔子菌門:Basidiomycota)은 다세포의 균사체가 주로 식물질에 기생하며 뿌리와 공생하거나 토양에 부생하는 것 등이 있다. 균사에는 격막이 있고, 격막부에 꺾쇠연결이 있는 것이 많다. 유성적으로는 접합에 의해서 담자기(擔子器)를 만들고 그 끝에 4개의 담자포자를 형성한다. 버섯의 대부분이 육안적인 자실체, 즉 버섯을 형성하며 소수는 곰팡이 모양이다. 낙엽·나무줄기를 분해하여 무기물로 환원시킬 때의 주역이다. 깜부기병균·녹병균 등 식물병원균도 포함된다.

불완전균문(不完全菌門:Deuteromycota)은 자낭균류와 담자균류 중에서 유성생식기가 분명하지 않고 무성세대만 알려져 있는 1군이다. 즉, 무성적으로 만들어지는 포자낭포자나 분생자의 형성 단계에서 번식하는 무리이다. 따라서 자낭균류에서의 자낭과 담자균류에서의 자실체가 발견되어 있지 않은 곰팡이들은 분류학적으로 불완전하다 하여 이 균들을 묶어 불완전균류라고 한다. 이 중에 유성세대, 즉 완전기가 발견되는 시점에서 자낭균류이든 담자균류에 편입되어 분류학상의 새 위치가 부여된다.

참조항목

, , , , , , , , , , ,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