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의 국악사

삼국시대의 국악사

의 초기는 대체로 상고시대 의 연속이었으나, 북방국가 특히 과의 교류가 시작됨에 따라 중국의 음악과 밀접한 관계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삼국의 음악 중 특기할 만한 것은 의 , 의 , 의 을 꼽을 수 있는데, 한국 최고의 현악기인 가야금은 가야국의 가실왕(嘉實王)이 나라의 악기를 본받아서 만들었다고 한다. 그 후 가야국이 어지러워지자 악사(樂士) (于勒)은 가야금을 안고 신라로 망명하였는데, 신라 진흥왕(眞興王)의 예우(禮遇)를 받게 됨에 따라 신라에서 가야금음악이 성장할 기반이 마련되었다. 남쪽 신라의 가야금에 견줄 만한 북쪽 고구려의 거문고는 중국 진(晋)나라에서 보내온 (七絃琴)을 제2국상(第二國相) 왕산악(王山岳)이 고쳐서 만들었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왕산악은 무려 100여 곡의 신곡(新曲)을 지어서 연주하였는데, 이것을 듣고 검은 학이 날아들어 춤을 추었다고 한다. 이처럼 (器樂)이 발달한 신라 ·고구려에 비하여 백제는 《선운산(禪雲山)》 《무등산(無等山)》 《정읍(井邑)》 등 가요와, 미마지(味摩之)가 중국 오(吳)에서 배워 왔다는 기악무(伎樂舞:假面舞)가 두드러진다.

삼국의 음악은 주변 국가에 전해져 그 우수성을 과시하기도 하였는데, 고구려의 무악(舞樂)은 수 ·당(隋唐)의 궁중에 전파되어 7부기(七部伎) ·9부기 ·10부기에 들었고, 백제의 악사 및 악기들은 에 전해져서 일본의 아악(雅樂)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삼국이 통일되어 하나로 합쳐지자 그 음악은 더욱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였는데, 악기에 있어서는 삼현삼죽(三絃三竹), 즉 거문고 ·가야금 · ·대금 ·중금 ·소금의 제도가 확립되었고, 불교의 성가인 (梵唄)가 유입되었으며, (金丸) ·(月顚) ·(狻猊) 등의 5기(五伎)가 연행되었다. 또한 중국계 음악인 당악(唐樂)이 전래되면서 거기에맞는 새로운 악기 ·음악형식 등이 정착하게 되었고 음성서(音聲署)라는 음악 관장기관을 설립하여 음악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기도 하였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