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단의 경제

수단의 경제

2007년(추정치) 기준으로, 수단은 GDP 가운데 농업이 31.5%, 제조업이 35.7%, 서비스 기타 32.8%이며, 농업과 목축이 경제의 주축을 이룬다(80% 정도의 노동력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고 농업노동의 대부분은 면화재배에 투입된다). 누메이리 정권이 안정되고 1973년의 석유위기 이후 오일달러가 유입됨에 따라 수단은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 1998년 IMF의 지원을 받아 경제개혁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최근 빠른 경제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남부 지역의 내전과 주변국으로부터의 난민, 거액의 외채 등이 경제 성장의 걸림돌이다. 정부는 세제개선과 환율조정 등의 개혁조치, 아랍통화기금, 회교개발은행 등과 외채협상에 역점을 두고 있다. 외국인 투자가 어려워지고 내전의 여파로 국방비 지출이 악재로 작용하였다. 1999년 3월 고유통화보유와 통화가치회복을 위해 영국식민지시절부터 사용해오던 수단 파운드를 없애고 디나르를 도입하였으나, 2007년 1월 다시 새로운 수단 파운드를 도입하였다.

2007년(추정치) GDP 실질성장률은 12.8%로 매우 높았고, 실업율은 18.7%로 아프리카 대륙의 다른 나라들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07년(추정치) 수출은 91억 5,600만 달러, 수입은 82억 6,200만 달러이고 주요 수출품은 원유, 석유제품, 원면, 땅콩이며, 주요 수입품은 식료품, 공산품, 수송장비 등이다. 주요 수출대상국은 일본(48%), 중국(31%), 한국(3.8%) 등이며(2006년),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17.7%), 사우디 아라비아(9%), 아랍에미리트(5.6%), 이집트(5.2%), 독일(5.1%), 인도(4.5%) 등이다(2006년).

수계(水系)의 내륙항로가 예로부터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총 연장 4,068km를 자랑한다(2006년). 도로 총 길이는 약 1만 1,900km(4,320km는 포장도로, 1999년 기준), 철도는 5,978km(2006년)이다. 포장 활주로를 갖춘 공항이 16개 있으며, 홍해 연안의 포트 수단에는 근대적인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