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면

왕면

[ 王冕 ]

요약 묵매화(墨梅花)를 잘 그렸던 중국 원나라때의 화가 겸 시인. 묵의 농담을 변화시켜 각기 다른 모습으로 피어 있는 매화를 표현하는데 뛰어났다. 그림을 그린 뒤 시를 짓고 낙관을 찍어 중국화풍의 독특한 풍격을 만들어냈다. 주요 작품에는 《묵매도(墨梅圖)》,《매화도(梅花圖)》등이 있다.
출생-사망 1287 ~ 1359
노촌(老村), 죽당(竹堂), 저석산농(煮石山農), 회계외사(會稽外史)
국적 중국 원나라 
활동분야 미술, 문학
출생지 중국 저장성〔浙江省〕
주요저서 《죽제시집》 
주요작품 《묵매도(墨梅圖)》 《매화도(梅花圖)》 《조수고매도(照水古梅圖)》 《삼군자도(三君子圖)》

가난한 농민 집안 출신으로, 공부를 좋아하여 고학을 하였다. 후이지〔會稽〕의 자 한성(韓性)의 제자가 되어 유학에 통달하게 되었다. 여러 차례 진사시험에 응시하였다가 낙방하고 병법(兵法)을 공부하였다. 난이 일어날 것을 예견하고 주리산〔九里山〕에 은거하여 그림을 그려 생계를 이었다. 묵매화를 잘 그려 (南宋)의 양보지(楊補之)가 그린 묵매화와 비견되었다. 그림을 그린 뒤 시를 짓고 을 찍어 중국화풍의 독특한 풍격을 만들어냈다.

왕면의 묵매화는 많은 가지와 꽃이 빽빽하여 생기가 넘치고 꽃을 그릴 때 한 번의 붓질에 두 번 꺾는 새로운 방법을 써 변화무쌍하게 느껴진다. 묵의 농담을 변화시켜 절기와 날씨가 다를 때 각기 다른 모습으로 피어 있는 매화의 자태를 표현하는데 뛰어났다. 그림 속의 시에는 백성의 고난을 반영한 강한 민족의식이 스며 있다. 도장 조각에도 뛰어나 화유석(花乳石)을 도장 재료로 사용한 것도 그가 처음이라고 한다. 공개와 함께 나라를 빛낸 인물로 평가된다. 주요작품에 《묵매도(墨梅圖)》 《매화도(梅花圖)》 《조수고매도(照水古梅圖)》 《삼군자도(三君子圖)》, 주요저서에 《죽제시집》이 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