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수용기

온도수용기

[ thermoreceptor , 溫度受容器 ]

요약 온도를 적합자극으로 하여 직접 수용하는 세포로 특유의 적합자극을 수용하여 구심성 신경섬유의 충격으로 전환한다. 적합자극에 따라 광수용기·화학수용기·온도수용기 등으로 크게 나눈다. 정온동물의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종말기관을 온도수용기로 보며 냉수용기와 온수용기가 있다. 사람의 냉수용기는 크라우제소체(Krause's bulb)이고, 온수용기는 루피니소체(Ruffini's corpuscle)이다. 이 두 수용기는 각각 피부의 냉점과 온점에 대응하고 있다.

적합자극이란 감각기에서 수용하는 특정한 자극을 말하며, 수용기란 눈·귀·코 등과 같이 적합자극을 직접 수용하는 세포를 말한다. 이에 반하여 감각기란 수용기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수용기는 각각 특유의 적합자극을 수용하여 이것을 구심성 신경섬유의 충격으로 전환하는 전환기 구실을 한다. 수용하는 적합자극에 따라 광수용기·화학수용기·기계수용기·온도수용기·습도수용기 등으로 크게 나눈다.

에서는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종말기관을 온도수용기로 본다. 그 종류로는 냉수용기와 온수용기가 있다. 사람의 냉수용기는 크라우제소체(Krause's bulb)이고, 온수용기는 루피니소체(Ruffini's corpuscle)이다. 냉수용기의 수가 온수용기보다 많고 좀더 표면 가까이에 있다. 이 두 수용기는 각각 피부의 과 에 대응하고 있다.

피부에 있는 온도수용기가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면 구심성 임펄스에 의하여 (視床下部)에 있는 중추에 전달한다. 이렇게 하여 체온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어류의 경우 옆줄(측선)이 냉수용기의 기능을 한다. 는 피트기관(pit organ)이 있어 적외선을 예민하게 감지하므로, 작은 포유류 등을 어두운 곳에서도 탐지할 수 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