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구굿

오구굿

요약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하여 일정 기간 안에 하는 굿.

죽은 사람이 생전에 이루지 못한 소원이나 원한을 풀어주고 죄업을 씻어 천도를 기원하는 무속의식으로 동해안의 어촌이나 경상도 지방에서 행해지는 것을 일컫는다. 각 지방마다 명칭이 달라 전라도에서는 씻김굿, 서울 경기 황해도에서는 지노귀굿, 함경도에서는 망묵이굿이라 하며 굿의 구성이나 형식에도 차이가 있다. 오구굿은 진오구와 마른오구가 있는데 죽은 직후 또는 얼마 지나지 않아 하는 것을 진오구, 죽은 지 일년 이상 지난 후에 하는 것을 마른오구라고 한다. 대개 죽은 사람 개인을 대상으로 굿을 하는데 미혼으로 죽은 경우에는 결혼식이 먼저 치러지고, 물에 빠져 죽은 경우에는 넋건지기굿을 먼저 한 다음 일반 오구굿 형식으로 진행된다.

순서는 죽은 사람의 옷을 돗자리에 싸서 돌돌 말아 세운 뒤 주발에 쌀이나 넋전(영혼이 들어 있다고 믿는 종이)을 담아 머리를 만들고 솥뚜껑을 얹어 갓 모양을 만든다. 이렇게 갓 쓴 사람의 모습을 만들어 향물이나 맹물, 쑥물로 씻긴 다음 죽은 사람의 원한을 푸는 의미로 바리데기라는 무가를 부르면서 매듭을 푸는 의식이 행해진다. 그런 다음 영혼을 담은 상자를 무명으로 늘인 다리를 상징하는 길 위에 얹어 저승으로 보내는 것으로 모든 의식이 끝이 난다.

오구굿은 죽은 사람과 산 사람 사이에 화해가 이루어져 이승에서의 모든 연이 끊기고 죽은 사람의 영혼이 다시는 이승을 떠돌지 못하도록 하려는 사람들의 바람과 무속적 신앙을 반영한 것이다. 한편 산 사람의 영혼을 위하여 하는 산오구굿도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죽어서 곧바로 극락에 갈 수 있다고 믿는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