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마

역마

[ 驛馬 ]

요약 전근대사회에서 역참에 갖추어 교통과 통신에 쓰던 말.

역말 또는 포마(鋪馬)라고도 한다. 중요한 교통통신수단으로 문서와 군사정보의 전달, 물자 수송, 관리들의 여행 편의, 사신의 영송(迎送) 등에 쓰였다. 쓰임새에 따라 사람이 타는 기마(騎馬)와 짐을 운반하는 태마(또는 卜馬)로 나뉘고 크기에 따라 대마, 중마, 소마나 상등마(上等馬), 중등마, 하등마로 구분되었다.

국내의 역마제도는 고려 때 제정된 포마법과 1276년( 2)에 설치된 포마차자색(鋪馬箚子色)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이르러서야 기틀이 잡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1410년(태종 10) 포마기발법(鋪馬起發法)을 제정하여, 왕명으로 역마를 이용하는 자에게는 관등 품위에 따라 마패를 발급하였다. 마패는 품위에 따라 말을 그려넣었고 다른 면에는 자호(字號), 월일 등이 적혀 있었다. 또한 역마로 충당할 말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호(馬戶)와 (驛吏)에게 마전(馬田)을 지급하는 마호입역제(馬戶立役制)를 실시하였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 역마의 수요가 급증하자 일반인에게 말을 사서 사용하는 쇄마고립제(刷馬雇立制)를 병행하여 부족분을 채우기도 하였다. 역마의 관리는 의 책임 아래 병방역리(兵房驛吏)가 맡아하였는데, 마적(馬籍)을 작성하여 보관하였으며 역마 이용자의 관직명과 날짜를 적어 계절마다 말경에 에 제출하였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