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기도설

심기도설

[ 心器圖說 ]

요약 1842년(헌종 8) 실학자 최한기(崔漢綺)가 쓴 농업 기계에 관한 책.
구분 농학 서적
저자 최한기
시대 조선 후기
소장 서울특별시립종로도서관

1권 1책. 《연심기(演心機)》라고도 한다. 을 통해 들어온 서구의 과학을 알리기 위해 쓴 책으로 기중기(起重機), [取水機], 기름틀[搾油具], 등 여러 가지 농기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목차와 발문 없이 서문격인 심기도설에 이어 여러 기계를 도해와 함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먼저 기중기의 제작법과 사용법을 11도(圖)의 도해와 함께 자세히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인중기(引重機)에 관한 도해 4도와 전중기(轉重機)에 관한 도해 2도를 실어 중력의 힘을 바꾸는 기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다음 취수도(取水圖)에서는 여러 양수기에 관한 도해 9도를 실어 설명하고, 전마도(轉磨圖)는 각종 톱니바퀴를 이용한 기계에 관한 설명을 담았다. 그 밖에 해목(解木), 해석(解石), 자행거(自行車), 국수틀[麵羅], 기름틀을 비롯한 60여 종의 기계에 대한 설명이 곁들여져 있다.

최한기 자신의 저서 《제기도설(諸器圖說)》 《육해법(陸海法)》 《농정회요(農政會要)》 등과 등옥함(鄧玉函)의 《기기도(奇器圖)》를 참고하여 썼다. 최한기는 천문, 지리, 농학, , 등에 박학했는데 이를 반영하듯 끝에 오성란(吳省蘭)의 《예해주진(藝海珠塵)》을 첨부하였다. 여기에서는 태양, , , , 등 천체의 움직임을 도해하였고 과 거울의 물리적 현상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과학사상가인 최한기의 수학적이며 실증적 면모를 보여 주는 저서로 과학사와 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서울특별시립종로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