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언어와 종교

독일의 언어와 종교

독일어는 기원전 1세기경 로마와 접촉한 게르만족이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6세기 경 현재 사용하는 독일어가 형성되었다. 독일어는 고지독일어(High German)와 저지독일어(Low German) 등 여러 방언이 존재하는데 자음을 중심으로 발음에서 차이가 있다.

고지대 독일어는 1,100년경까지 현재의 바이에른(Bavaria) 지역인 남부의 고지대에서 사용하였는데, 중세 이후 고지 독일어(Middle High German)로 발전하였다. 13세기의 서사시 《니벨룽의 노래》 등 중세시대 문학작품은 중세 고지 독일어로 집필되었다. 중세 고지 독일어는 현대 표준 독일어(Standarddeutsch)로 발전하였는데, 중부의 튀링겐(Thüringen)지역의 방언이 표준 독일어의 원형이다. 저지대 독일어는 북부의 한자동맹 도시에서 사용하였던 언어로 현재도 여러 방언으로 분화되어 사용된다.

독일어는 독일 본국은 물론이고,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벨기에 동부, 이탈리아 북부, 프랑스 서부의 일부지역에서도 사용하여 총 사용자는 1억 2천만 명에 달한다. 독일 이외의 지역에서 사용하는 독일어는 현대 표준 독일어와 다소 상이하다. 특히 스위스에서 사용하는 독일어는 헬버티즘(Helvetisms)이라고 불리고 어휘와 발음에서 차이가 있다.

독일은 유럽연합이 제정한 지역과 소수언어헌장(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을 준수하여 덴마크어, 저지대 독일어(Low German), 네덜란드와 벨기에에 인접한 지역에서 사용하는 뮤즈-레니쉬어(Meuse-Rhenish), 서슬라브어의 일종인 소르비안어(Sorbian languages), 북프리슬란트어(North Frisian), 동프리슬란트어(Saterland Frisian) 등도 소수언어로 인정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이민자들이 급증하면서 튀르키예어, 아랍어, 쿠르드어, 발칸어, 러시아어 등도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