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지표

생물지표

[ biological indicator , 生物指標 ]

요약 기준이 되는 생물을 이용해 환경오염 또는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의 상황을 측정하는 지표.

일정한 에서 기준이 되는 생물을 통해 환경상태나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의 상황을 측정하는 를 말한다. 여기서 기준이 되는 생물이란 한정된 환경에서 이동이 없고, 비교적 분포지역이 넓으며, 오염 피해에 민감하게 반응해 환경에 변화가 생길 경우 빠르게 영향을 받는 생물을 말한다.

따라서 생물지표는 에 대한 의 영향을 평가하는 지표로 많이 이용된다. 물리적·적 오염 측정 방법이 특정 오염요소에 국한되는 것과는 달리 복합오염에 대한 종합평가가 가능하고, 2차 오염에 대한 위험성이 전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생물지표 가운데 측정 생물이 식물인 경우 이를 지표식물이라 하고, 동물인 경우 지표동물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지표식물에는 ·깨꽃()·· 등이 있는데, 들깨는 과 접하게 되면 가장자리부터 연한 흑색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해 점차 잎 전체로 번져나가 나중에는 흑갈색으로 바뀌고, 과 접할 경우에도 비슷한 반응이 일어난다. 그밖에 에 식생하는 ·· 등도 성 조엽(照葉)의 세계 최북단 자생지로서 생물지표로 이용된다.

지표동물은 주로 을 측정하는 데 많이 이용된다. 예컨대 ·· 등이 살고, 바닥의 돌을 들치면 애벌레가 많으면 이 수질은 1급수이다. ·가 살고 물이 비교적 맑으며 냄새가 없으면 2급수, ··· 등이 살고 물이 황갈색을 띠면 3급수, 만 겨우 살 수 있고 악취까지 풍기는 썩은 물은 4급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듯 기준이 되는 생물을 이용해 환경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를 생물지표라고 하며, 영어로 '바이오인디케이터'라고 한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