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연소

불완전연소

[ incomplete combustion , 不完全燃燒 ]

요약 물질이 연소할 때 산소의 공급이 불충분하거나 온도가 낮으면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면서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는 현상으로 자동차 배기가스의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배출의 원인이다.

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적정 온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연료는 그을음을 내거나 를 생성하며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고 손실이 일어난다. 이때 그을음의 성분은 탄소(C)로 완전연소했다면 (CO2)가 되었을 것이다. 일산화탄소(CO) 또한 완전연소하였다면 이산화탄소(CO2)가 되었을 것이다. 연료가 불완전연소하여 생물체가 일산화탄소에 노출되면 일산화탄소 중독현상을 일으킨다. 원소분석실험 등에서는 물질의 완전연소를 돕기 위해 산화구리(Ⅱ)관을 통과시켜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를 산화시키기도 한다.

    2CuO(산화제) + C → 2Cu +CO2
    CuO(산화제) + CO → Cu + CO2

자동차 배기가스와 불완전연소
자동차의 연료로는 압축천연가스(CNG),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휘발유, 경유 등이 많이 쓰이고 있다. 탄소에 비해 수소의 수가 많은 물질, LNG(CH4)나  LPG(C3H8) 등이 연소할 때에는 필요한 산소의 수가 적으므로 완전연소하기 쉽고, 탄소에 비해 수소의 수가 적은 물질, 휘발유(C8H18), 경유(C16~C18) 등은 연소할 때 필요한 산소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 불완전연소하여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CH)를 배출하기 쉽다.

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