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좌불교

상좌불교

[ 上座佛敎 ]

요약 석가모니가 입적(入寂)한 후에 그의 교설에 대한 이해와 전승을 둘러싸고 전개된 18부파 불교 중의 하나.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일한 부파이며, 대승불교의 관점에서는 소승불교에 속하는 학파 혹은 종파.
관욕의식

관욕의식

원어명 Sthaviravāda

상좌란 장로(長老)라는 뜻이므로, 상좌불교는 부처의 가르침을 충실히 전수하는 권위있는 장로들의 전통 혹은 교설에 충실한 불교를 의미한다. 상좌불교는 로 쓰여진 경(經, sutta)· 율(律, vinaya)· 논(論, abhidhamma)의 삼장(三藏, tipitaka)을 경전으로 삼고 있으며, 부처의 가르침을 가장 충실하고 완벽하게 전수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부처의 가르침을 전수하고 실천하는 출가승들의 집단이 아니라 2,000여 년에 걸쳐 스리랑카·미얀마·타이· 라오스· 캄보디아 등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 하나의 불교 문화권을 형성해 온 종교 전통이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상좌불교는 동남 아시아의 사회·문화·정치·경제·윤리·사상·민속 등 삶 전체에 영향을 끼쳐 온 불교 전통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한다.

모든 불교가 그러하듯 상좌불교도 불(佛, Buddha)· 법(法, Dharma)· 승(僧, Sangha) (三寶)에 대한 신앙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삼신설(三身說, trikaya)과 같은 초월적 부처론을 전개하고 있는 대승불교와는 달리 역사적 존재로서의 석가모니와 그의 가르침, 그리고 그 가르침을 실천하는 승가(僧伽)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성(聖)과 속(俗), 출세간(出世間)과 세간(世間), 출가자(出家者)와 재가자(在家者)의 구별이 뚜렷하다. 상좌불교의 전통이 강한 나라의 승가는 나라의 정신적 지주로서 왕과 백성들로부터 숭앙을 받아 왔으며 양자 사이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석가모니의 입멸(入滅) 후 100여 년이 지나면서 승가는 석가모니의 법(法)과 율(律)에 대한 해석과 전승의 차이로 분열하게 되었는데, 이중 최초의 공식적인 분열은 계율의 준수에 있어서 보다 자유로운 태도를 주장하는 (大衆部)와 엄격하고 보수적인 (上座部)로 나뉜 것이 그것이다. 그후 승가의 분열은 더욱 가속화되어 대중부와 상좌부를 중심으로 대중부 계통은 6부, 상좌부 계통은 12부로 분열하여 모두 18개의 부파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 왕은 부파간의 이견을 해결하기 위해 상좌 불교의 고승 목갈리푸타티사의 주재하에 당시의 승려들을 모두 모은 다음 상좌 불교의 교설을 정통설로 확정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아소카 왕이 통치하던 기원전 3세기경에는 상좌불교가 인도에서 다른 종파들과 더불어 하나의 종파로서 모습을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성립된 상좌불교는 인도의 여러 지역뿐만 아니라 스리랑카 등 동남 아시아 지역에까지 전파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