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충해

병충해

[ 病蟲害 ]

요약 식물이 병균이나 벌레에 의해 입는 해.
가시다리왕하늘소

가시다리왕하늘소

병해와 충해로 나누어지는데, 병해는 곡물·채소·과수·꽃·임목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유용식물이 병균에 의하여 고사·부패되어 수확량이 줄어들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충해는 벌레에 의해 식해(食害)·흡수해(吸收害) 등을 입는 것을 말한다. 식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를 이라고 한다.

병해는 식물에 기생하는 병원(病原)에 의해 발생하는데, 전파가 빠르고 해를 입는 범위가 넓다. 병해의 피해 정도는 병원균의 종류, 작물의 종류·품종, 병해의 발생시기, 기상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다. 병원에는 곰팡이, 세균, 미코플라스마, 바이러스, 비로이드 등이 있다. 해충에는 곤충 이외에 진드기·선충류가 포함되기도 하며, 해충의 종류에 따라 충해를 입히는 방법이 다르다.

명나방류의 유충, 바구미 등은 식물을 씹거나 갉아먹어 해를 입히는데 싹·잎·꽃·열매·씨 등을 바깥쪽에서 먹는 것과 줄기 속으로 들어가 먹는 것이 있다. 말매미충, 진딧물, 노린재 등은 흡수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식물에 침 모양의 흡수구를 찔러 넣고 조직 안에 있는 즙액을 빨아먹는다. 파리·진드기·털날개류 등은 식물의 조직을 잘게 씹어 이때 배어나오는 즙액을 핥아먹음으로써 잎과 열매에 상처를 낸다. 하늘소는 산란에 의해 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알을 낳을 때 나무껍질을 잘게 씹어 해를 입히고, 나무껍질 밑이나 나뭇가지에 알을 낳는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가 줄기 속을 파먹는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는 전체 농산물의 25%가 병충해를 입고 있으며, 매년 5억 톤 이상의 곡물이 병충해에 의해 소실된다고 발표하였다.

참조항목

, , , , , ,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