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자미

참가자미

[ flounder/brown sole ]

요약 넙치와 비슷하게 생긴 가자미목 가자미과의 바닷물고기. 함경도 지역에서는 가자미식해를 만들어 먹는다.
참가자미

참가자미

학명 Limanda herzensteini
동물
척삭동물
경골어류
가자미목
가자미과
이칭/별칭 마가레이(일본어명)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 최대 몸길이 40cm
몸의 빛깔 눈이 있는 쪽은 청갈색, 눈이 없는 쪽은 흰 바탕에 등쪽과 배쪽 가장자리는 노란색 띠
산란시기 4∼6월
서식장소 수심 150m 이내의 바닥이 뻘이나 모래질인 대륙붕 주변
분포지역 한국, 일본, 동중국해 등 북서태평양의 온대 해역

몸이 타원형이고 옆으로 매우 납작하다. (광어)와 그 생김새가 매우 비슷해 눈과 머리의 방향으로 둘을 구분한다. 광어는 몸의 왼쪽에 눈이 있는 반면, 가자미류는 오른편에 눈이 붙어 있는데 '右가자미 左넙치'를 기억하면 구분이 쉽다. 몸빛깔은 눈이 있는 쪽은 청갈색이며, 눈이 없는 쪽은 흰 바탕에 등쪽과 배쪽 가장자리는 노란색 띠가 있다. 눈이 있는 쪽은 로, 눈이 없는 쪽은 둥근 비늘로 덮여 있다. 최대 몸길이 40cm까지 성장한다.

참가자미 본문 이미지 1

우리나라의 동해, 서해, 남해와 일본, 등의 연근해에 분포하며, 의 바닥에 사는 어류이다. 바닥이 펄이나 모래질로 이루어진 수심 150m 이내의 주변에 주로 서식한다. 봄에 연안 가까이 이동하여, 6월경 최대로 얕은 곳까지 이동하였다가, 9월 이후에는 다시 깊은 곳으로 돌아간다. 기는 4~6월이며, 산란기 동안에 두 번 산란한다. 먹이는 갯지렁이류, 새우류, 게류, 어류, 해조류 등이다.

어획은 산란기인 4~6월이 제철이며 양식은 되지 않는다. 산란기에는 걸그물을 이용하여 그물코에 꽂히게 하여 어획하고, 그 밖의 시기에는 고기떼를 둘러싸듯이 그물을 던져 끌고 다니면서 차츰 고기떼가 그물 입구 쪽으로 모이게 하여 포획한다. 참가자미는 가자미 종류 중에서 가장 고급인 생선으로, 어획되는 양이 다른 가자미 종류에 비해 적은 편이다.

흰살 생선으로서, 주로 조림이나 회로 먹으며, 함경도에서는 참가자미를 토막내어 삭혀서 가자미 식해를 만들기도 한다. 가자미 식해는 현재 북한에서는 최고급 음식에 속한다.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참가자미

참가자미 출처: Getty Images 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