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각탑

다각탑

[ 多角塔 ]

요약 탑신 평면이 다각형의 형태를 한 탑.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탑은 불교에서 사리(舍利)를 모셔두기 위한 봉안소로써 불교 신자나 승려들의 예배 대상이었다. 점차 신앙의 대상이 탑에서 불상으로 옮겨가자 사찰의 장식물로 남게 되었고 고층의 커다랗던 규모도 작아지며 다각탑이 등장했다. 옥개(屋蓋)가 보통 6각이나 8각인 탑으로, 평양 동쪽의 청암리 절터에서 8각 건물의 8각 기단이 발견된 이래 백제와 신라에서도 다각탑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월정사(月精寺)의 8각9층석탑(국보 제48호)이 대표적인 것으로 꼽힌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이미지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옥개석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옥개석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월정사. 고려시대.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