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

[ Agricultural Cooperative University , 農協大學校 ]

요약 농업과 지역사회, 농업협동조합 발전에 이바지할 유능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전문대학으로 1962년에 개교했다.
농협대학교 기념탑

농협대학교 기념탑

구분 사립
특성 전문대학
개교일 1962년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삼릉길 281(원당동 산 38-27)
교훈 서로 사랑하자, 서로 믿자, 서로 돕자
면적(㎡) 324,352
전임 교원수(명) 8
학생수 478
홈페이지 https://www.nonghyup.ac.kr/

1966년 가 1962년에 건국학원에 의하여 설립된 농협초급대학을 인수하여 운영하는 이다. 1966년 9월 축산대학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농업협동조합중앙회가 이 학교를 인수한 목적은 농촌에 정착하여 낙후된 한국 농촌의 근대화를 위하여 헌신할 지도자와 새로 발족된 농협의 간부요원을 양성하려는 것이었다.

초창기에는 입학자격을 군복무를 마친 후 농촌에 정착할 청년으로 한정하였고, 입학 후에는 등록금 전액이 면제되고 모든 입학생이 의무적으로 생활관에 들어가 생활하도록 되어 있었다. 생활관에서의 생활은 일반대학의 기숙사생활과는 달리 단순한 침식 제공의 차원을 넘어서 자치적 단체생활을 통하여 협동이념을 생활화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1975년부터는 입학금 및 등록금을 받기 시작하였고, 1979년에는 농업협동조합전문대학으로 개편되어 전문직업인 양성 교육기관으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80년대 들어 농협중앙회에서 관장하고 있던 대농민사업이 단위농협으로 이관되면서 단위농협의 경영이 복잡해지고 유능한 단위농협 기간요원의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농협중앙회에서는 이제까지 시·군조합에 배치해 왔던 농협대학의 졸업생을 전원 단위농협에 배치하기로 결정하였다. 1991년, 이제까지 농업협동조합과 단일 과였던 대학의 학과에 정원 30명의 농공기술과와 정원 20명의 식품제조과를 신설하였고, 다음해인 1992년에는 정원 20명의 전자계산과를 신설하였다.

이밖에도 1993년 협동조합 최고경영자 과정, 1996년 국제협동조합 과정, 1997년 농업인 개방대학 과정 등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1998년 이름을 현재의 농협대학으로, 2012년 농협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9년 기존 4개과를 통폐합하여 전공코스제(유통경제, 금융보험)를 도입하였고, 2001년 농협 초급관리자 MBA과정을 개설하였다. 부속기관으로 도서관, 농촌개발연구소 등이 있다.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