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적

노적

[ 露積 ]

요약 농촌에 있는 집 마당이나 넓은 터에 쌓아두는 곡식단.

황해도와 평안도에서는 낟가리, 경기도 이남에서는 노적이나 노적가리라고 한다. 흔히 보릿단·조단·볏단 등으로, 대개 원통 모양이다. 다 익은 보리·조·벼를 거두어들인 다음에는 이삭에서 낟알을 채취하는 과, 낟알에서 등겨층을 벗겨내는 도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 탈곡기나 , 도정기 등이 없었던 옛날에는 거두어들인 곡식이 많으면 탈곡이나 도정을 짧은 시간 안에 할 수가 없으므로 곡식단을 따로 보관하여야 한다. 노적은 곡식알이 붙은 쪽을 안쪽으로, 뿌리 부분을 바깥쪽으로 가게 하여 포갠 곡식단을 2m 정도로 쌓는다. 비나 눈으로부터 노적을 보호하려면 그 위에 삿갓 모양으로 엮은 덮개를 씌운다. 노적은 쌓은 해에 모두 탈곡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탈곡할 곡식의 양이 많을 때는 여러 해 묵히는 경우도 있다. 옛날에는 농업이 주산업이었기 때문에 한 집안의 부(富)를 곡식의 많고 적음으로 평가하였다. 그래서 노적의 양으로 그 집이 부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였다. 부자를 일컫는 백석꾼, 천석꾼, 만석꾼이란 말은 모두 여기에서 나왔다. 오늘날은 농업이 기계화되면서 탈곡이나 도정을 짧은 시간 안에 할 수 있으므로, 농촌에서 노적을 보기는 힘들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