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깐집터

돌깐집터

요약 선사시대에 바닥에 돌을 깔아 편평하게 만든 집터.

부석주거지(敷石住居址)라고도 한다. 의 일반적인 집터에는 자리와 기둥구멍이 갖추어져 있지만 돌깐집터에는 이런 요건을 갖추지 않은 곳도 있다. 1936년 평양시 청호리에서 발견된 돌깐집터는 한쪽이 1.8m 정도 되는 사각형의 터에 화덕자리를 중심으로 돌이 편평하게 깔려 있다. 청호리의 집터는 신석기시대의 집터라고 볼 수 있다.

1949년 경남 웅천동 자마산에서 발견된 것은 세로 4m, 가로 5m의 사각형 주변으로 넓적한 이 깔려 있고 방을 2칸으로 나눈 듯 그 사이에 세로로 돌을 깔았다. 또 북쪽 모서리에는 3m 정도 되는 돌출부를 만들어 창고처럼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이 집터에는 화덕자리가 전혀 보이지 않으며 집터 바닥 전체에 돌을 깔지 않았으며 구조상으로 보아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 시설을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1971년 강원도 춘성군(지금의 춘천시) 내평리에서 발굴된 집터에는 동서 12.3m, 남북 4m의 사각형 바닥에 돌을 깔았고 돌 아래 맨바닥에서 화덕자리가 발견되었다. 사냥과 채집 경제에서 점차 농경과 가축을 사육하여 점차 안정된 움집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특히 창고처럼 생긴 것이 발견된 웅천동 집터는 저장이 필요해질 만큼 농경이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