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포화점

광포화점

[ light saturation point , 光飽和點 ]

요약 식물의 광합성 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때의 빛의 세기를 말한다. 광합성 속도는 빛의 세기에 비례하지만 광포화점에 이르면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의 양, 온도 등도 이와 같은 현상을 보인다.

광합성의 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빛의 세기, 의 양,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의 잎에 빛을 쪼이면 빛의 세기에 비례하여 광합성 속도는 증가한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어느 점에 이르면 더 이상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데(광포화), 그때의 빛의 세기를 광포화점이라 한다. 이산화탄소도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면 광합성 속도는 증가하지만 어느 농도를 초과하면 더 이상 농도가 높아져도 광합성 속도는 빨라지지 않는다. 또한 온도의 광합성 속도에 대한 영향은, 약한 빛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강한 빛에서는 광합성이  온도의 영향을 받으며 일정한 온도까지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광합성 속도도 증가한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광포화점이 다른데, 수박이나 토마토는 70~80klx의 강한 광이 광포화점이며, 오이, 호박, 양배추, 완두콩 등은 40~55klx 정도의 중간 광을 광포화점으로 가진다. 반면, 양상추나 피망과 같은 경우는 25~30klx 정도의 약한 광포화점을 가진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