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문읍도

개문읍도

[ 開門揖盜 ]

요약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함.

開 : 열 개
門 : 문 문
揖 : 읍할 읍
盜 : 도적 도

긴박한 주위 사정을 깨닫지 못하고 감상(感傷)이나 비탄에 빠져 제스스로 화(禍)를 불러들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개문납도(開門納盜)·개문납적(開門納賊)이라고도 한다.

《(三國志)》〈손권전(四七孫權傳)〉편에, 후한(後漢) 말 오(吳)나라의 무장(武將) (孫策)의 세력이 날이 갈수록 강해지자 당거의 태수(太守; 중국 고대의 지방장관) 허공(許貢)이 천자 (獻帝)에게 손책을 제거해야 한다는 상서를 올렸다. 그러나 이 상서문이 중도에 손책의 손에 들어가게 되고, 크게 노한 손책은 무력으로 허공을 죽여버렸다. 그 때 허공의 집에 있던 세 명의 식객(食客)은 손책의 무력에서 간신히 탈출하였다.

이들은 허공의 원수를 갚기 위해 손책이 사냥을 즐겨하는 것을 알고 이를 노려 손책을 덮쳤다. 이때 손책은 깊은 상처를 입고 간신히 도망쳤으나 그 후 상처가 악화되어 위독해지자 동생인 손권에게 뒷일을 맡기고 죽었다. 그러나 손권이 형의 죽음을 슬퍼하여 비탄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어 손책의 가신(家臣)인 장소(張劭)가 손권에게 말하기를, “이런 위급한 상황 속에서 하염없이 슬픔에 잠겨 있으면 이것은 마치 스스로 문을 열어놓고 도적을 맞이하는 개문읍도격입니다. 난세에는 욕심이 많은 늑대가 득실거리는 법입니다. 정신차리십시오!”라고 충고하였다.

손권은 이 충고의 참뜻을 깨달아 그 즉시 상복을 벗어던지고 군대를 순시하러 나섰고, 아버지 (孫堅)의 원수 황조(黃祖)를 무찌르고 적벽(赤壁)에서는 (劉備)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군대를 격파하여 강남(江南)에서 그의 지위를 굳혔으며, 조조의 아들 (曹丕)가 후한(後漢)의 헌제(獻帝)를 협박하여 제위(帝位)를 빼앗아 국호를 위(魏)라 하고 황제를 칭하자, 손권도 제위에 올라 오(吳)·위·촉한(蜀漢)의 (三國時代)를 열게 된 주역으로서 역사와 한 시대를 풍미하였음은 물론이다.

영명(英明)한 군주와 이를 받드는 충신의 호흡이 일치하여 부국강병의 국가경영에 성공한 역사적 사례를 본 것이다. 조선시대 말에 간신(奸臣)들이 군왕의 얼을 뺏고 닥달하여 국권을 도둑맞게 한 개문읍도의 꼴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